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안녕하세요. 한국 독자여러분! 저는 동남아시아 뉴기니아의 밀림 속에 사는 개구리입니다. 3월 5일이 경칩(驚蟄)이라 이렇게 한국에 초대돼 왔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늘 여름 날씨라 개구리가 동면을 마치고 깨어난다는 절기인 경칩을 실감하지 못했는데 막상 한국에 와보니 당장 저도 동면에 들어 ... ...
- Part1. 뇌 vs 컴퓨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우리는 흔히 뇌를 컴퓨터에 비유하지만, 뇌와 컴퓨터는 많이 다르다. 속도로 보면 컴퓨터가 압도적이다. 하지만 뇌는 복잡하고 다양한 뉴런(신경세포)의 연결로 느린 속도를 극복한다. 덕분에 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도 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낸다. 이 둘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하 ...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구멍뚫린 위로 소화 연구1833년에 발표된 ‘위액과 소화생리학에 관한 실험과 관찰’은 오늘날 고전처럼 읽히는 논문이다. 이유는 저자인 윌리엄 보몬트 박사가 직접 눈으로 보면서 썼기 때문이다.1822년 6월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있는 매키닉 요새에서 총알이 날아왔다. 그 총알은 병사 알렉시스 생 ...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동그란 얼굴, 통통한 배, 짧은 다리... 인기 캐릭터는 하나 같이 아기처럼 생겼다. 이들의 성공 비결은 이런 형태에 있는 걸까. 한 번 알아보자.선물을 사러 들어간 완구 코너, 여기저기 둘러봐도 온통 뽀로로 뿐이다. 동그란 얼굴에 동그란 배, 그야말로 눈사람 몸매다. 동그란 주황색 안경 너머로 보 ...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아유, 토실토실한 게 아주 널 빼닮았다, 얘.” 주인님도 방금 들었죠? 우리가 닮았대요. 저 요즘 주인님 닮았단 소리 진짜 많이 듣는데, 그게 몸매 때문이었나 봐요. 살이 찌면 인상이 비슷해지잖아요. 저도 왕년에 한 몸매 했는데, 어쩌다가ㅠㅠ. 이게 다 과자 때문이에요. 저녁 먹고 주인님과 나란 ...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매년 유럽에서는 40만 명이 유방암 진단을 받는다. 그리고 13만 명이 유방암으로 죽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유방암이 갑상샘암 다음으로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유방암 진단을 받은 사람 중 40%는 유방을 제거한다. 수술 후에도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의 고통은 이어진다. 여성들에게 ...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2호
- 2012년 벽두부터 신문과 TV를 도배하고 있는 학생폭력, 교실 내 왕따 이야기는 승천하는 흑룡(黑龍)의 기상을 받은 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사회 분위기를 침울하게 만들고 있다.예전에도 이런 문제는 늘 있어왔지만 지금은 그 심각성이 도를 넘어선 느낌이다. 특히 학생들을 보호하고 지도해야 할 ...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수학동아 l2012년 02호
-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손을 자주 씻고, 얼굴을 만지지 말아야 한다. 호흡기 질환인 감기 바이러스가 손을 타고 얼굴을 거쳐 코나 입으로 전파되기 때문이다. 또 신종플루와 같은 심각한 전염병이 돌면 학교가 쉬고, 환자를 집에서 쉬게 한다. 사람을 통해 전염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때 어떤 사 ... ...
- 수학촌의 단짝친구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젓가락 한 쌍, 신발 한 켤레, 치약-칫솔, 남자-여자…. 짝이 없으면 존재감이 약해지는 것들이 많아. 이처럼 짝이라는 것은 꽤 소중한 존재야. 이번 달에 살펴볼 숫자 2는 가장 작은 짝수라는 점에서 짝이라는 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짝수의 대표 주자인 2에 대한 여행을 떠나 보자. 제1코스 단 ...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2008년 3월 19일 우연히 밤하늘을 바라본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평생 한 번 뿐일지 모르는 색다른 경험을 했을 것이다. 무려 74억 년을 여행해 마침내 지구에 도달한 빛을 맨 눈으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74억 년 전이면 태양계가 존재하기도 전이다.빛공해가 없는 외진 곳 ‘별이 쏟아지는’ 밤하늘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