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난수, 넌 누구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나오는 면의 수열을 나열해도 이진법 난수표를 만들 수 있다.이런 물리적인 방법 외에
기존
의 다른 표를 이용하는 수도 있다. 최초로 난수표를 출판한 티펫은 인구통계조사표에서 무작위로 뽑아낸 수를 이용했다. 또 다른 통계학자는 로그함수의 값을 정리해 놓은 로그표에서 무작위로 수를 골라서 ... ...
[과학뉴스] 자외선 차단과 비타민D 합성을 동시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했다. 그 결과 SPF를 30으로 유지했는데도 생성되는 비타민D의 양이
기존
제품보다 50% 늘었다. 홀릭 교수는 “한여름에도 비타민D 결핍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며 “필요한 태양빛을 얼마나 잘 통과시키는가가 좋은 자외선 차단제를 고르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가능하다. ORNL 연구진은 타이탄의 계산 능력을 높이기 위해 그래픽처리 가속기(GPU)와
기존
의 CPU를 혼합해서 컴퓨터노드를 구성했다. 간단한 계산은 GPU의 병렬 구조로 처리하고, 복잡한 알고리듬은 CPU로 수행하는 식이다.타이탄은 ORNL 소속의 연구원이 아니더라도 제안서를 내 통과하면 누구나 무료로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동시에 할 수 있다. 아주 복잡한 계산도 짧은 시간에 할 수가 있다.이게 가능해지면
기존
의 RSA암호와 같은 소인수분해 암호는 금방 풀려버리게 된다. 양자컴퓨터에게 큰 수의 소인수분해는 금방 해결해 낼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비트★ 정보 처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 하나의 비트는 0이나 1값을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꾸준히 작동시켜 왔고, 그 중 한 대가 이 소수를 찾아냈다. 이 수는 274,207,281-1로
기존
에 발견된 가장 큰 소수보다 500만 자리나 더 길다. 이번 발견으로 쿠퍼 교수는 총 4개의 새로운 소수를 찾았고, 3000달러의 상금을 거머쥐게 됐다.이번에 찾은 소수는 49번째 ‘메르센 소수’이기도 하다. 메르센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장 필요한 조건 두 가지는 높은 에너지 효율과 환경 보존이다.
기존
에 사용된 화석연료는 기후 변화와 같은 환경문제를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필요성이 대두된 대체에너지는 에너지 효율이 15~20%에 불과해 주력 에너지원으로 쓰기엔 아직 부족하다.안 교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에너지원이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
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트위스터는 난수의 반복 주기가 메르센 소수인 데서 유래했다. 메르센 트위스터는
기존
의 난수생성기보다 주기가 훨씬 더 길며 속도도 빠르다. 주기는 219937-1로 이 수는 현재 49개로 알려진 메르센 소수 중 24번째 수다.선형합동법과 비교하면 메르센 트위스터가 훨씬 더 정교한 난수생성기라는 것을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연구논문이 실렸고, 국제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는 “실험 방법이 매우 잔인했으며
기존
에 이미 비슷한 내용의 실험이 진행됐던 만큼 꼭 필요한 연구가 아니었다”고 비판했답니다.또한 동물실험 규칙을 어긴 연구 논문이 세계적인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어요. ... ...
[Nesw & Issue] 생체조직 투명하게 만드는 데 단 6시간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액트-프레스토 기술은 뇌를 포함한 모든 생체조직을 6시간 만에 투명하게 만든다.
기존
에 나와 있던 기술보다 30배 빠른 속도다. 확인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을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해 염색하는 ‘면역염색’ 기술도 몸속 더 깊숙한 곳까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조직이 투명해지면 항체의 침투력이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