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적도의 마운트 활용법
과학동아
l
199412
고정시킨 채 아무리 오랜 시간 노출을 주어도 어느
한계
등급 이상의 별들은 찍히지 않는다. 지구 자전으로 인해 별들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즉 오랜시간 노출을 주어 고정촬영을 하게 되면 필름 상에서도 별빛이 움직이게 된다. 필름 상에 별의 움직임이 나타나는 시점부터는 더이상 노출을 주어도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11
초점 길이와 별의 적위 값에 따라 달라진다.• 노출시간을 아무리 길게 하여도 어느
한계
밝기보다 어두운 별은 찍을 수 없다.• 또한 노출 시간이 너무 길면 아무리 밤이라 하여도 배경이 하얗게 나와 별이 찍혔어도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카메라의 f수(초점비)는 노출 시간에 따라 적당히 ... ...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11
실험돼 왔다. 새로운 방법론이 나올 때마다 가능성에 부풀어 흥분하다가 잠시 후 그
한계
를 파악하고는 실망했던 역사의 반복이었다. '중용'이 해결책지금까지 논의된 방법론에는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모형을 제공하는 확률적 방법론,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의 수 중에서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11
pixel)이라 불리는 영상 정보의 양이 너무나 많고, 또한 영상에 있어서의 변화성 때문에
한계
점에 부딪쳤다. 현재 신경망을 이용해 영상을 인식하는 기법은 비교적 간단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수준에 와 있으나 2000년 초반에는 로봇이 주위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이동하는 단계에 이를 전망이다.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11
어두운 이면이 있다.노벨상의 그림자 부분이라하면 노벨상의 규정 자체에서 오는
한계
도 있고 심사진의 편견도 있을 수 있으며 정치적 관계나 인맥에 치우친 선정에서 오는 잡음 또한 있을 수 있다. 노벨상의 그늘노벨상은 각 분야에서 생존해 있는 사람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못박혀 있다. 때문에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11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인식분야는 자연스럽게 컴퓨터란 '기계'가 자신의
한계
내에서 인간의 감각을 가장 잘 흉내낼 것으로 믿어지는 부분, 그러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영역인 문자와 음성으로 귀착된다. 문자인식우리 주변에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문자정보들이 다양한 형태로 흘러 ... ...
PART.2 PC통신 서비스, 화상·음성기술개발 시급
과학동아
l
199411
대한 나우콤의 대응을 설명한다."오래 전 전화 케이블을 이용해 전송할 수 있는 통신속도
한계
는 1만9천2백bps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제는 2만8천8백bps까지 올라왔다. 이 속도 역시 새로운 변조방식이 개발됨으로써 앞으로 극복될 것이 분명하다. 광케이블이 깔리지 않았다고 영업을 안할 수는 없지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10
충격마저 던져준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란 세상살이의 주어진
한계
를 깨닫고 그 안에서 살아가야 하는 것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일깨워준다. 지속 가능한 발전이란과학사에서 엔트로피 법칙의 의미는 자연세계 변화의 방향성을 규정한 것이었다. 따지고 보면 엔트로피 법칙이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10
꽃이 절정을 이룬다. 첫째로 노란 두메양귀비꽃을 들 수 있다. 산정에서 수목
한계
선까지 바위틈과 자갈밭에 나는 넓은 꽃잎 4장이 꽃대 위에 1개씩 달리는 양귀비 닮은 아름다운 꽃이다. 이와 비슷한 종류는 북극해에 면하는 동토대는 물론 천산(天山) 고산초원에도 나있어 학술적 분포 가치를 더해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흔히 문제의 본질과는 다른 대답이 나오는 것이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과학의
한계
를 의식하게 되면 곧 엄밀한 수학모델을 만들 수 없는 구조를 다루는 이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인간의 지식은 언어로 표현돼야만 한다. 우리가 명백하다고 억지로 여기고 있지만 '좋다' '싫다'와 같은 언어는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