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4,337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0
나트륨 함량이 낮은 저나트륨 소금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저나트륨소금이란 나트륨
대신
칼륨을 넣은 소금인데, 나트륨 함량은 낮으면서짠맛을 낼 수 있어 ‘웰빙소금’ 대접을 받는다. 국내에서 팔리는 저나트륨소금은 회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28~62%의 염화칼륨을 함유하고 있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포커스 월드’에 따르면 매사추세츠공대(MIT) 요엘 핑크 교수팀은 지난 7월 “렌즈
대신
수많은 가닥의 특수 광섬유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광섬유로 만든 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은 ‘렌즈 파손’이라는 치명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피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렌즈는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10
별들로 이뤄져 있다.왜소은하는 우리은하 같은 은하와 비교해 보면 정말 왜소하지만
대신
숫자로는 우주에 있는 은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왜소은하는 우리은하처럼 큰 은하를 이루는 구성단위로 추정되고 있다. 즉 왜소은하가 합쳐져 큰 은하가 만들어진다는 시나리오다. 지구에서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10
20세기 초 인간이 대기 중에 있는 질소를 고정하는 방법을 개발한 후, 질소 비료는 거름을
대신
하게 됐고 대단위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 농장에 뿌려진 질소 비료 중 일부는 대기의 산소와 반응해 산화질소가 됐다. 산화질소는 기권으로 이동해 대기 중 산화질소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인간은 ... ...
시각 장애인 눈
대신
하는 ‘전자 지팡이’
과학동아
l
200910
시각 장애인의 손에 촉감 정보를 제공해 낯선 길을 쉽게 찾도록 돕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스라엘 텔 아비브대 오릴 하라브 박사팀은“집 밖에 있는 사물의 촉감을 생생히 느끼도록 해 집 밖을 돌아다니는 효과를 내는 기술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에서 열린 ‘200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10
사정이 나빠진 젊은 세대들은 자신에게 투자하려는 경향이 커졌고, 결국 연애대상
대신
혼자 즐길 수 있는 취미를 찾고 있다는 뜻이다.양창순 원장은 “자기애가 강한 젊은 세대들은 상처받는 걸 두려워한다”며“스스로 인식하지 못하지만 과거에 이성에게 받은 상처나, 경험하지 않았지만 언젠가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10
사람들은 계산을 할 줄 몰라도 큰 불편함이 없었을거야. 하지만 조약돌을 세면서 수를
대신
하던 시절과 상형문자로 수를 쓰던 시대를 거쳐 아라비아숫자로 수를 표현하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가 갖는 영향력은 점점 더 커졌어.수와 친숙해지기 위해서는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처럼 쉬운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10
공식적으로 주장한 사람은 프랑스 수학자 비에트다. 비에트는 1579년에 60진 소수 체계
대신
에 10진 소수 체계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변호사이자 정치가면서 심심풀이로 수학도 연구해 대수학, 기하학, 삼각법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소수 왜 태어났니?자연수와 분수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10
했다. 물레방아 형태의 추진방식을 가진 인력선이 있는가 하면, 선체를 유리섬유
대신
탄소섬유를 써 가볍게 만든 배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충남대 선박해양공학과 안병권 교수는 “환경 친화적인 인력선과 솔라보트는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해 우리나라에서도 그 수요가 확대될 것”이라고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0
줄기세포로 루게릭병을 완전히 치료하려면 이식된 줄기세포가 사멸된 운동신경세포를
대신
해 중추신경계 조직에 붙어서 살 수 있어야 하고 골격근에 이르는 신경돌기를 만들어내야 해 아직까지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홍윤호 교수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 동대학원에서‘변이 SOD1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