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래"(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학계의 알파고, 케마티카(Chematica)를 탄생시키다IBS l2016.08.03
- 그는 사이푸 참석을 앞두고 "구글의 CEO를 만나고 그의 비전을 듣고 싶다"며 "과학의 미래가 결정되고 세상의 흐름이 만들어지는 곳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만나 그들의 생각들을 공유하고 싶다. 새로우면서 의미 있는 연구 주제를 사이푸를 통해 찾고 싶다"며 기대감을 표현했다. 자유로운 분위기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명사편] 시장을 움직이는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에서 나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07.22
- 이 교수가 설명한 혁신의 원리는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미래의 패러다임을 개척할 혁신의 주체는 다름아닌 수많은 개인일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 교수는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희망적이면서도 냉정한 충고를 합니다. “혁신을 이루는 것은 쉽지 ...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2016.07.17
- 네이처 제공 ‘꿈의 신물질’로 불리는 그래핀은 탄소 원자를 벌집모양 6각형 구조로 늘어놓은 평면 구조다. 이번 주 네이처는 평평한 평면구조였던 그래핀을 입체구조로 접는데 성공한 연구 성과가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그레헴 크로스 아일랜드 더블린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다이아몬드 바늘을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토편] 주말도 마다않는 열혈 멘토, 이준석 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6.07.15
- 시스템이죠. 창조경제타운의 멘토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전문 역량을 갖추고 미래의 엘론 머스크와 스티브 잡스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진단해주고 개선방향을 알려주는 멘토들은 사업의 시작을 결정지을 수 있는, 핵심적인 조언을 해 주는 분들이지요. 이들 중 ... ...
- VR, 경험의 시대를 이끌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꿈이었다. 하지만 인터넷도, 컴퓨터도, 그리고 스마트폰 역시 모두가 한 때는 꿈이었다. 미래는 현실이 되고 있고 우리가 함께 만들어갈 때가 됐다." 지난 2014년 3월 페이스북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주커버그가 자신의 계정에 올린 이 글은 전세계에 적잖은 파장을 불러 왔다. 페이스북이 거액(21억 ... ...
- ‘국민연금’ 경력단절여성(경단녀)도 추후납부제도 활용할 수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2016년 11월부터 출산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 두면서 국민연금 납부 ... 국민연금 추후납부는 부부의 아름다운 황혼을 이끌 보물 상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태관 미래에셋은퇴연구소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아래 문구로 책을 마무리했다. “일리야 메치니코프가 죽은 지 한 세기가 지났지만, 그의 미래는 여전히 그의 앞에 놓여 있을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IBS l2016.07.05
- 미래에는 과연 어떤 기술을 개발해야 할까. 문 총장은 '상상력(imagination)'을 강조했다. 미래의 기초과학을 위해서는 더 이상 '따라 하기 과학(following science, me-too-science)'이 아닌 참된 연구(True science)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 총장은 이를 위한 방법으로 ▲연구 다양성의 증가, ▲장기적인 투자,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높은 사람들은 비교적 느긋하며, 도전 등 리스크를 짊어지는 일을 마다하지 않는 등 ‘미래를 위한 투자’나 멀리 내다보는 판단 등에 상대적으로 이점을 갖는다고 한다. 이런 심적 위기감 및 여유의 차이가 ‘포커스’의 차이를 가져오고 그것이 또 빈익빈부익부를 만드는 한 요소로 작용하지 ...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했다.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말하는 정 부연구단장이 생각하는 뇌 분야 연구의 미래는 어떨까. 정 부연구단장은 고위 뇌 기능 연구로 정신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IBS 제공 “2005년에 세상을 놀라게 했던 광유전학을 이용하면 특정 신경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