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과학자로는 유일하게 이화학연구소 연구원회의 의장을 맡아 오보카타 건에 깊숙이
관여
했던 김유수 박사에게 현지 분위기를 들었다. ●뭘 조작했나…“손으로 그래프에 점 찍어” 네이처는 논문을 게재한 지 5개월 뒤인 지난해 7월 2일 오보카타 박사의 논문 2편을 공식 철회했다. 1차 ... ...
난치병 ‘중풍’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었다
2015.01.28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며 “허혈성 뇌졸중뿐만 아니라 노치 신호가
관여
하는 암, 류머티즘 같은 질병 치료제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임상신경학 분야의 권위지 ‘애널스 오브 뉴롤로지(Annals of Neurology)’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사이코패스 뇌는 처벌 인식 못해
2015.01.28
이 부분은 동정심과 죄책감, 당황스러움을 비롯한 사회적인 감정을 처리하는 데
관여
한다. 범죄자들의 문제 행동을 수정하려면 처벌로부터 잘못을 깨닫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달려오는 버스 앞에서 길을 건너지 않는 이유도 그렇게 하면 어떻게 될지 뻔히 예측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이코패스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가설’이 있습니다. 플라이오트로피 현상은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에
관여
하는 현상입니다. 어떤 유전자가 아동기와 청년기에 유익한 기능을 담당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만약 그 유전자가 노년기에는 해롭다면 사라져야 맞겠지만, 아동기와 청년기에 유익했기 때문에 사라지지 않습니다. ... ...
타는 목마름으로…갈증 조절하는 뇌세포 발견
2015.01.27
못했다. 연구진은 뇌활밑기관이 갈증을 통제한다면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뇌세포군이
관여
할 거라고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뇌세포 영상. 붉은색이 갈증을 유발하는 CAMK11 세포군이며 녹색이 갈증을 억제하는 VGAT 세포군이다. - 컬럼비아대 제공 우선 쥐의 뇌활밑기관에 빛에 민감한 ... ...
빛 만 쪼여주면 약 효과가 쑤욱~
2015.01.21
P450’이라는 효소에 주목했다. 이 효소는 생물체 내에서 약물 및 호르몬의 대사 과정에
관여
한다. 사람에게 투여되는 약물의 75% 정도는 이 효소가 대사를 담당하기 때문에 신약 개발 과정의 핵심적인 요소로 꼽힌다. 약물 생산 과정에서 대장균 등의 세포반응을 이용하는데, 이때 시토크롬 P450을 ... ...
토종벌꿀, 로열젤리 만드는 유전자 밝혀졌다
2015.01.20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유전자 1만600개 가운데 토종벌이 꿀과 로열젤리를 만드는 데
관여
하는 유전자들은 물론 전염병의 발병원인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면역 관련 유전자 160개를 밝혀냈다. 그밖에도 토종벌이 사회성을 가진 곤충인 개미와 2456개의 유전자를 공유하는 반면 비사회성 곤충인 ... ...
꼬리 치는 야생 여우, 있을까 없을까
2015.01.16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집고양이와 야생고양이는 먹이에 대한 보상이나 기억에
관여
하는 뇌 속 신경회로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슬리 워런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인간이 주는 먹이를 받아먹으며 생긴 유전적 변이가 야생고양이를 길들이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BDNF 단백질 농도가 낮다”며 “격렬한 운동이 심장기능 악화시키는 과정에 BDNF 단백질이
관여
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과 정신 건강이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보통 심장질환과 우울증을 함께 겪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BDNF 단백질이 그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 사이언스 제공 논문은 이 과정에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관여
한다는 사실을 밝힌 내용이다. 즉 몸에 침입한 병원체를 잡아먹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가 병원체 세포 표면의 일부인 탄수화물 조각을 항원으로 뱉어내면 이 항원이 B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달라붙는다.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