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학"(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중요하다고 본다. 물리 현상을 탐구하는 게 물리학이고 화학 현상을 탐구하는 게 화학인데, 수학은 현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로 사유하고 머리로 검증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의 머리가 아니라 컴퓨터가 증명한 4색 정리는, 수학의 본질에 부합하지 않는다.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리가 평소 마주치는 환경에서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두 과학자가 전기화학 분야의 전문가들이었기에 파장은 더 컸다.이들이 사용한 방법은 일종의 전기분해였다. 용기에 중수(수소 대신 중수소가 포함된 물)를 넣고 팔라듐 금속으로 된 전극(음극)과 양극을 넣으면 중수가 분해되며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더라도 2020년에는 세계적으로 약 105t이 유통될 전망이다.문제는 나노입자가 기존 화학물질에 비해 인체의 미세한 장벽을 통과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점이다.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바로 허파세포로 들어가며, 심지어 뇌로도 들어갈 수 있다. 영국리버풀대 비비안 하워드 교수는 금 나노입자가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빛을 한 번만 쏘고, 안 보고 싶은 분자는 빛을 두 번 쏘는 방법. 이게 바로 이번에 노벨화학상을 받은 초분해능 광학현미경의 원리예요.”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참가자 60여명이 고개를 끄덕였다. 참가자들의 질문도 수준 높았다. 윤 교수가 “청색 LED는 노란 형광체를 발라 백색 LED를 만들 수 있기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내뿜는 이온엔진은 연료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를 3500kg이나 쓰는데, 이온로켓은 540kg만 있으면 된다.소행성 주변을 뱅글뱅글 돌며 중력 견인달 궤도 창고에 보관해뒀던 소행성을 드디어 꺼내 쓸 때가 왔다. 거대 소행성이 지구를 향해 ... ...
- INTRO. 노벨과학상 2014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준으로 매년 노벨 과학상 후보를 예측하는 톰슨로이터에서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 찰스 리도 후보에 올라 어느 때보다 기대가 컸던 올해 노벨 과학상. 어떤 과학자가 영예를 안았는지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지장이 있지 않겠냐”며 만류했다는 언급이 보인다. 또 노벨상을 예상했냐는 질문에 “화학상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은 했는데, 물리학상이라 놀랐다”라고도 답했다.일본에 두터운 후보군이 아직 많다는 것은 앞으로도 수상 소식이 이어질 것이라는 뜻이다. 이 모든 것은 100여 년에 걸친 교육과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년 12월 학술지 ‘화학감각’에 발표했습니다.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달라 화학구조가 매우 비슷한 냄새 분자 2개를 각 통로에 흘린 뒤, 먹이가 있는 곳의 냄새를 맞출 수 있는지 시험한 겁니다. 그 결과, 코끼리는 실험에 쓰인 총 12쌍의 냄새 분자를 높은 확률로 구별하는 데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해서 나온 시리즈가 ‘사이언스 101’이다. 물리, 화학 같은 기존 주제는 물론이고 기상학이나 법과학처럼 생소한 분야도 기초부터 탄탄히 다루고 있다는 것이 이 시리즈의 특징이다. 대중교양서이지만 대학교재로도 쓰이는 이유다. 특히 법과학은 마니아가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플레밍 교수 연구팀은 광합성에서 양자 중첩의 증거를 발견한다. 광합성은 태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것으로 생명체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중·고등학교 생물시간에 ‘전자전달계’라는 것을 들어 봤을 것이다. 이때 나오는 반응물의 이름을 달달 외우던 악몽이 떠오르는 사람도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