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학계에서는 논문 저자의 기준을 지나치게 확대 적용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국제의학
학술
지 편집인 위원회가 정한 저자의 기준인 ‘기초적인 작업을 하거나 지적으로 중대한 내용에 비판적 수정을 한 사람’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끌었던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사라 엘긴 ... ...
꽈~악! 악력 클수록 더 건강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악력, 즉 물건을 쥐는 힘이 센 사람일수록 더 건강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맥매스터대 인구보건연구소 데릴 렁 교수팀은 해밀턴 보건과학병원과 공동으 ... 질병을 앓는 사람들의 사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
학술
지 ‘랜싯’ 5월 13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론에 따른 질점의 중력장’이란 제목의 논문을 아인슈타인에게 보내 프로이센 과학
학술
원 회보에 투고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 논문에는 중력장 방정식을 아주 특수한 경우로 국한시켜 구한 최초의 엄밀한 풀이가 담겨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이 논문을 보고 “나는 문제의 풀이가 이렇게 간단한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홍릉, 광릉, 선릉, 정릉, 융릉, 건릉, …. 뭔지 아시겠나요? 수목원 이름이라고 답하는 분 도 계시고 지명이라고 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정답은 조선의 왕릉 ... 존재하던 왕조임에도 우리는 그 시대의 진가를 잘 모르고 있습니다. 조선 왕릉 종합
학술
조사로 그 진가가 널리 알려질 수 있길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문어 다리가 움직이는 원리가 미국의 생물학 전문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온라인 판에 공개됐습니다.이스라엘 히브리대 신경생물학과 가이 레비 교수팀은 문어의 한 종류인 왜문어 한 마리를 장애물이 있는 수조 안에 풀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문어가 장애물을 넘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음악과 록 음악도 분홍색 소음으로 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1975년 11월 27일 미국 과학전문
학술
지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다.히트곡 예측 공식 발표돼2011년 12월 17일 ‘MML 2011 4차 국제 기계 학습 및 음악 워크숍’이 스페인 시에라네바다에서 열렸다. 이 워크숍에서 영국 브리스톨대 공학부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3.2배까지 늘어나면서 변형된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전도성 섬유는 신축성이 떨어져 늘리면 전기적 특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고무재질의 고분자물질과에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 있었다.이번 연구는 지진 경보에 스마트폰 GPS 정보라는 빅데이터가 활용된 첫 사례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 밴스’ 4월 10일자에 실렸다. 연구를 진행한 사라 민슨 박사는 “스마트폰 GPS 지진 경보 시스템은 초기에 네 트워크 설치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며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 ...
[과학뉴스] ‘늘었다 줄었다’ 스타킹 같은 전자소재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배까지 늘어났다 줄어들면서 전기까지 만드는 고탄성 ‘나노자가발전기’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3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최근 플렉서블 전자소재들이 잇따라 개발되고 있지만 잡아당겼을 때 늘어났다가 다시 줄어드는 탄성을 갖춘 소재는 만들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 ...
[과학뉴스] 현생 인류가 턱 가진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현생 인류는 네안데르탈인이나 다른 영장류와 달리 유독 앞으로 돌출된 턱 끝을 갖고 있다. 이는 음식물을 씹을 때 얼굴뼈를 지지하기 위해진화한 ... 얼굴 크기가 작아지면서 아래쪽 뼈가 턱으로 돌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
지 ‘해부학’ 4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