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현대사회는 눈을 자극하고 눈에 호소한다. TV에는 스토리보다 눈을 자극하는 영상이,
책
에는 글씨보다 그림이, 사람간의 관계에는 느낌보다 드러난 것이 더 중요하게 대두되곤 한다. 쉽게 눈에 띄는 것이 진실을 가릴까 염려된다. 감은 눈에 맺힌 우주도 보이는 것이라고 인정한다면, 나도 별 볼일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KAIST 권혁상 교수의 ‘스테인리스강의 이해(한국철강신문)’를 인상 깊게 읽었단다. 이
책
을 통해서 금속의 쓰임부터 조합하는 원료의 비율에 따라 금속의 성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자세히 알게 됐다. 게다가 흔히 ‘스댕’이라고하는 스테인리스강의 다양한 종류를 알게 되면서 더욱 흥미를 ... ...
르네상스 걸작에서 찾은 원근법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남자들도 참 고운 색 옷을 입었구나! 섬세한 옷 주름에 소곤소곤 어떤 대화를 할까?’
책
에서 봤을 때와 다르게 직접 눈앞에서 작품을 보니 별별 생각으로 가득하다. 이토록 생생한 그림을 어떻게 그린 걸까?현실을 캔버스에 옮기는 원리를 깨닫다을 그린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그림을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눈 덮인 평원 밖에 없는 얼어붙은 호수 가운데의 한적한 섬에 있는 롯지에서 뜨개질하고
책
을 보다 간단다. 이제까지 들었던 여행자 중 최고의 고수다.죽기 전에 꼭 한번은 보아야 할 오로라. 2012년에도 한두 번 더 갈 듯하다. 얼마나 더 가면 만족할 수 있을까. 보고 또 찍고도 다시 가고 싶은 욕심의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책
은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에서도 보기 힘드니까요. 적금을 들어
책
을 구입하는 농민도 있었습니다.”누군가 자신을 두고 ‘잡초 같이 사는 잡초학자’라고 말했다며 웃던 강 교수는 잡초는 상황에 따른 말일 뿐이라고 강조한다. 즉 벼는 작물이지만 국화밭에 벼가 있으면 ... ...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새해를 기념하며 성대하게 열린 클래식 음악회. 박력있고도 부드러운 지휘자의 손놀림과 한꺼번에 오르락내리락 움직이는 바이올린 활 군대 사이사이로 1~2개씩 배치된 관악 ... 천장에 화려한 샹들리에 같은 구조물이 잔뜩 달려 있는 걸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이
책
한 권에 들어 있다 ... ...
소년은 늙기 쉽고 연애는 이루기 어렵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소년은 자기다운 방법으로 연애를 배우기 시작했답니다. 뭐겠어요? 뻔하죠.
책
이에요. 연애를 글로 배운 소년의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됐습니다.승부는 첫인상에서 갈린다아, 위 이야기의 주인공은 제가 아닙니다. 가까운 친구의 사연이에요. 믿거나 말거나지만. 어쨌든 소년은 휴대전화 연락처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글씨는 길쭉하게 써야 차 안에서는 정상적인 크기로 보인다. 얼마 전 누나가 사온
책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진중권, 휴머니스트)’에서 눈여겨 본 그림이 있다. 한스 홀바인이라는 화가가 그린 ‘대사들(the ambassa-dors)’이다. 그림 아래 부분을 유심히 보면 뭔가 이상하다. 그림의 왼쪽 아래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모범적이고 학습 태도가 좋으며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받을 수 있는 종합의견의 예 ‘
책
임감이 강하고 빈틈이 없으며 지적탐구심이 강해 모든 교과 성적이 우수하며, 학교에서 정한 규칙을 잘 준수함. 넓은 포용력을 갖고 친구를 대하는 모범적인 학생이지만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마음으로 ... ...
[1월] 과동 데스크의 썰 說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보안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다른 글과는 달리 인터넷이나
책
에서 베끼지 않고 자신이 직접 쓴 글로 소화했다는 점이 돋보였다. 잘 쓴 글보다 자신이 쓴 글이 더 중요하다. 그러나 두 기사 모두 시의성과 독자 시각에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는 실패했다.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