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입증
확증
근거
보증
증언
뒷받침
d라이브러리
"
증거
"(으)로 총 2,26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침팬지의 에이즈바이러스(SIVcpz)와 HIV는 VPU라는 공동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이
증거
라는 것.에이즈바이러스를 퇴치하는 방법 역시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아지도티미딘(AZT)과 같은 치료약이 있긴 하지만 에이즈바이러스의 증식을 잠시 억제할 뿐이다. 결국 최선의 치료책은 예방이라는 얘기다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검증되지 않았다.현재 한국의 동해는 계속 넓어지고 있을까. 그렇지 않다. 지질학적
증거
에 따르면 동해가 벌어지는 일이 끝난 것은 대략 1천5백만년 전이었고, 약 5백만년 전부터는 오히려 조금씩 좁혀지고 있다. 2천3백년 전 이후 8백만년 동안 동해가 넓어지다가 1천만년 동안 움직임이 멈췄다는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켜면 태아가 꿈틀거리는 모습이 관찰된다. 뱃속의 태아가 외부의 빛에 반응한다는
증거
다. 빛의 자극은 태아의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고, 뇌에서는 이 반응에 대해 깜짝 놀라는 ‘놀람 반사’가 발생한다. 마치 잠을 자는 성인의 눈에 전등을 비출 때 눈을 깜박거리거나 뒤척이게 되는 반응과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예상됐다. 테사 조웰 보건장관은 “이 기술의 혜택과 위험을 입증하기 위해 더 많은
증거
가 필요하다”며 반대 이유를 밝혔다.하지만 이번 합의 내용은 현실적으로 한가지 딜레마를 낳았다. 시민들은 ‘복제’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했고, 인간개체복제는 물론 인간배아복제 역시 엄격히 ... ...
고대 화성에 미생물 있었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비어드 박사와 동료들은 최근 고대 퇴적암에 함유된 철이 미생물에 의해 증발돼 분홰된
증거
를 발견했다고 밝혔다.과학자들은 화서의 운석에서 부터 수백만년된 미세 미생물들의 흔적을 발견했다. 연구를 이끌고 있는 생화학자 비어드 박사는 철층의 미생물이 이상적인 생체단서가 돼 줄것이며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또 왼쪽 이마가 오른쪽에 비해 앞으로 돌출한 사례가 많다는 점이 드러났다. 좀더 정확한
증거
를 찾아야겠지만, 뇌가 전체적으로 커졌으며 특히 지성을 지배하는 좌뇌가 많이 발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눈과 눈 사이는 좁아지고 있다. 한국인의 눈동자 간 거리는 평균 62-65mm ... ...
고추의 매운맛은 자손 퍼뜨리는 수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자손을 퍼뜨리는데 도움이 되는 동물은 유인하도록 화학물질을 선택적으로 생산한다는
증거
이다. 애리조나 대학의 생태학자 주디스 브론스타인 교수는 “이는 특정물질이 자신의 적에게는 독이지만 친구에게는 그렇지 않은 것을 보여주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라고 말했다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고 말했다. 최근의 국지성 집중호우가 한반도 기후특성의 변화를 보여주는 좋은
증거
라는 것이다.일시적인 변화일 수도기상청 박정규 예보과장도 일단 한반도의 전체적인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에 따르면 근래의 집중호우는 우선 양적으로 과거의 기록에서 보기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자세한 정보를 알려주었다. 게다가 루시의 무릎뼈는 인류가 두발걷기를 했다는 확실한
증거
를 보여줬다. 루시는 인류의 기원을 3백20만년 전으로 끌어올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물론 요한슨의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리처드 리키는 아직도 루시를 현대인의 조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않고 무사했다.콜레라균을 마셨음에도 무사했으니 이는 세균감염설에 대한 강력한 반대
증거
가 될 것 같았다. 하지만 상황은 그렇게 흘러가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페텐코퍼의 한 제자가 똑같은 실험을 하다가 콜레라에 걸려 죽고 말았던 것이다. 후대에 사람들은 페텐코퍼가 무사할 수 있었던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