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대한 질문 프로젝트 2020, 질문을 던지면 책이 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주제로 질문을 모집하는 ‘위대한 질문 프로젝트 2020’을 진행합니다. 참여하면 좋은 점이 뭔가요?여러분의 질문과 이름이 담긴 책이 만들어집니다. 여러분이 보낸 질문 중 30개를 골라 화학자가 직접 답을 하고, 선정된 질문 옆에는 질문자의 이름이 쾅! 박힙니다. 여러분과 화학자의 ‘콜라보’가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행성을 찾는 우주망원경 테스(TESS)가 수집한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던 중 HD74423의 특이한 점을 발견해 천문학자들에게 알려 주었거든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천문학자들은 HD74423가 물방울 모양인 이유는 근처에 있는 적색왜성 덕분이라고 발표했어요. 적색왜성의 중력이 HD74423을 끌여당겨서 물방울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등이 필터에 달라 붙는답니다.다만 이런 원리 탓에 정전기 필터를 쓸 때는 주의해야할 점이 몇 가지 있어요. 먼저 마스크를 깨끗하게 소독해서 다시 쓰려고 삶거나 드라이어로 가열하면 안 돼요. 필터의 소재인 고분자 수지가 열에 약하기 때문이지요. 또, 정전기는 물에 닿았을 때 쉽게 사라져요.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점들의 집합이거든요. 이 덕분에 아주 약한 전파를 모으는 데 유리하죠. 포물선의 초점에는 안테나로 모은 약한 전파를 크게 만들어주는 증폭기가 있고, 그곳에 모인 전파는 주파수 별로 분해돼 저장된답니다. 외계행성에 탐사선 보내기외계인이 있을 만한 행성에 탐사선을 보내 외계인을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도허티 지구 관측소 교수팀은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라 나무의 성장 속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해 나무의 나이테를 조사했고, 이번 가뭄이 16세기 이후 가장 길고 심각하다는 것을 밝혔다. 토비 올트 미국 코넬대학교 지구대기과학과 교수에 따르면 이런 심각한 가뭄 상황을 연구하는 데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변화뿐 아니라 각 개인 간의 차이, 세분화한 잠재 집단의 특징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연구 대상인 청소년의 수면 시간 변화 패턴은 크게 4개 집단으로 구분됐어. 7년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유형이 있는가 하면 완만하게 떨어지는 유형도 있었지. 이때 4개 집단의 특징을 비교하면 ...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직접 한다는 점도 좋았어요. 대기업에 들어가면 전체 과정의 일부분만 담당한다는 점에서 아쉬울 것 같았죠. 앞으로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나요?제가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마음껏 산업 현장의 문제를 연구해보고 싶어요. 처음에는 일하다 보면 바빠서 아이디어가 잘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붙어있는 그래프를 말해요. 이 그래프의 특징 중 하나는 중심에 있는 점이 다른 모든 점과 연결돼 있다는 거예요. 마치 학급에 하나씩 있는 인싸 친구 같죠? 그래프로 나타내는 우리 관계이렇게 그래프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유용해요.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과 알프레드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붙여 읽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일, 십의 자릿수를 읽었던 코드로 읽습니다. 주의할 점은 나머지가 0일 때는 백의 자릿수만 읽고, 0이 아니라면 백과 십의 자릿수 사이에 and를 넣어야 합니다. 200은 two hundred, 345는 three hundred and forty five로 읽는 것처럼요. 마지막으로 1000은 one thousa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지만, 아데노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레트로바이러스는 1980년대 최초의 바이러스 벡터로 개발됐고, 1990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임상시험에 활용되면서 유전자 치료의 실현을 한 걸음 앞당겼다. 하지만 1999년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