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문
일간지
뉴스페이퍼
뉴스
신문지
페이퍼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일보
"(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먼지는 대단히 높은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먼지폭풍은 지구 뿐만이 아니라 화성도 휘젓는다. 인간은 그들의 발자국을 달의 먼지투성이인 표면에 남겼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구 대기의 상부에 있는 먼지다. 대기의 여러 층중에서 가장 안정된 층은 성층권인데 이는 지구 위 10㎞에서 시작하 ... ...
멸종 동물 몸무게 잘못 추정된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3천만년 전 아시아에서 살았던 인드리코테리움의 몸무레를 다시 재 보니···과거에 지구 위를 걸어다녔던 포유동물중 가장 큰 놈은 어떤 종이었을까. 이 질문에 공룡이라고 자신있게 대답하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틀린 답이다. 중생대에는 엄청나게 큰 공룡이 땅위를 활보했으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환상적인 태양의 모습을 사진에 담으려면 무엇보다 우선 태양빛 대부분을 차단시키고 극히 일부만이 카메라로 들어오게 해야 한다.일출의 태양은 강렬하고, 석양의 태양은 아름답다.한낮의 태양(노란색)은 너무 밝아 쳐다보기조차 힘들지만, 지구의 두꺼운 대기를 뚫어야하는 지평선 근처의 붉은 ... ...
유조선 중간갑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금년초 대형유조선침몰로 해상에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국제해사기구(IMO)는 유조선의 구조에 관한 규정을 고쳐 '오는 7월 이후에 건조되는 5천t 이상의 유조선은 이중선각 또는 그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갖는 구조라야 한다'고 못박았다. 일본 도쿄대 선박해양공학과 오쓰보(大 ... ...
세계에서 가장 가는 탄소나노칩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풀러렌(${C}_{60}$)보다 더 우수한 재질을 가진 탄소나노칩이 일본 전기(NEC)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새로운 물질 나노칩의 지름은 0.8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로 이제까지 발견된 소재 가운데 가장 가늘다.연구팀은 나노칩 외측에 납을 증착해 4백℃로 열처리한 결과 녹은 납이 칩의 끝부분으 ... ...
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0만건을 넘고 있다. 그만큼 우리는 발명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한편 동아
일보
사(소년동아
일보
)와 과학기술처가 공동주최하는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도 올해로 15회를 맞고 있다. 이 대회의 대통령상 수상자를 비롯해 14명의 수상자들에게는 장학금과 유럽첨단 과학시설의 견학기회가 ... ...
SF소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91년 이후 국내에도 SF소설동호회가 두 군데 생겼다. 회원들은 주로 PC통신을 이용해 상호 정보교환을 한다줄베르느의 '해저2만리', 조지 오웰의 '1984',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우리에게 상상력과 꿈을 주는 SF(Science Fiction)의 명 ... ...
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고정방식에서 이동장비로, 전신에서 무선전화로 아마추어 무선이 변화하고 있다'모스부호에서 무선전화로.' 최근 몇년동안 햄(HAM, 아마추어무선)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남북관계의 진전으로 무선통신에 대한 각종 규제가 완화되고 첨단통신장비들이 잇따라 선보이면서 햄도 덩달아 활성화되 ... ...
메소포타미아 농업 기원설에 반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태평양의 한 섬에서 발견된 2만8천년 전 석기연장에 남은 미세한 식물잔류물이 메소포타미아 농업기원설을 부정하고 있다. 농업의 첫 발생지가 메소포타미아의 '기름진 초생달' 지역이 아닐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일군의 오스트레일리아 과학자들이 태평양의 한 섬에 살 ... ...
우주탐색 전선24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 고개를 들면 밤하늘에는 별들이 반짝인다.● 일반인들이 별을 바라보기란 이렇게 쉬운 일이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먼저 '어떤 종류의 빛'으로 관측할 것인지부터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현황을 중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