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높아지거나 진동이 생기면 바로 근무자에게 알려준다. 상시 대기 중인 근무자는 자동감시시스템이 감지한 위험 요소 중에서 헬리콥터에서 나오는 열이나 자동차, 천둥 때문에 생기는 진동 같은 잡신호를 걸러낸다.지아만코 박사는 화산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어디서’, ‘언제’, ‘얼마나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유리에 운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계된 장치다. 아이언맨은 HUD 헬멧을 통해 인공지능 시스템인 자비스와 통신하거나 적의 위치를 파악해 정밀 타격을 하기도 한다.현재 HUD는 일상 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해외 명차는 물론 우리나라의 승용차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등을 바로 처리할 수 있죠. 그 결과 얼마의 기간 동안 어떤 제품이 얼마나 팔렸는지 POS 시스템을 통해 알 수 있답니다.기업들은 이렇게 모아진 고객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분석을 해요. 먼저 고객을 세분화합니다. 비슷한 특징을 가진 고객끼리 묶으면 좀 더 효과적으로 고객을 특성을 알아낼 수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키스’를 연상케 하는 미술작품이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놀랍게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해 컴퓨터가 스스로 그린 그림이다. 더 놀라운 것은 자동차나 비행기 설계에 이용하는 수학 원리를 적용한 결과라는 것이다.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변분미술, 위상 최적 설계에서 시작되다!수학을 ...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취재 차 찾은 덱스터 스튜디오는 한창 음향 기기를 준비하고 있었다. 올 여름, 소닉티어 시스템이 있는 스크린을 찾아야 할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 화면에서 시원하게 뻗어나오는 야구공이 머리 위로 지나가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지도 모른다.우리나라 배우와 감독이 권위 있는 영화제에서 실력을 ...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말이 유행하다보니 직원들에게도 스마트하게 일하라고 주문하는 모양이다. 첨단기기와 시스템을 제공한다고 해서 직원들이 스마트 워커가 되지는 않는다. ‘야근 철폐’와 ‘충분한 수면 보장하기’만큼 스마트한 전략도 없다. 직원들에게 ‘야근은 축복’이라고 말하는, 전혀 스마트하지 않은 ... ...
- Interview 서거석 대교협 신임 회장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입시 제도를 이해하기 쉽도록 전형 명칭을 단순화합니다. 내년부터는 공통원서접수 시스템을 구축하고 학생부, 논술, 수능 위주로 입시전형을 간소화할 예정입니다. 대교협도 교육부와 협의해 나갈 것입니다.올해 처음 시행하는 것이라서 그렇습니다. 선택형 수능과 관련된 정보가 충분히 알려지면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마냥 안심할 수는 없는 일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도 기상청을 중심으로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이 정착되도록 준비하고 있다.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진은 주기성을 띠고, 큰 규모의 지진은 긴 주기를 가지고 발생한다. 짧은 시기에 발생한 몇몇의 지진 기록만으로 전체 지진 위험성을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당시 신생 영화 제작사인 워너브라더스 사에서 개발한 ‘바이타폰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워너브라더스와 스피커의 일종인 진공관 앰프의 특허를 갖고 있는 웨스턴일렉트릭 사의 공동 작품이었다. 녹음기와 카메라를 이용해 소리와 영상을 기록한 뒤, 극장에서는 축음기와 영화 필름을 따로, ... ...
- 독자여러분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로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축(Chuuk) 주에 남태평양해양연구센터를 설립해 산호초와 열대생물, 신재생 복합에너지 시스템 등을 연구하고 있다.열대해양캠프에 참여하면 해양연구센터를 방문해 흑진주 양식을 체험하고, 바이오디젤을 만드는 플랑크톤도 관찰하는 등 연구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남태평양의 바다를 느낄 수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