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살고 있어 생태학자들에게 지렁이는 매우 중요한 지표 동물이다.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것이다. doi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동물로 키메라 배아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키메라 배아는 유전적으로 유사한 동물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쥐의 배아세포에 래트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주입하거나, 돼지의 배아세포에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주입했을 때는 키메라 배아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돼지의 배아세포에 래트의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51 Pegasi b’로 명명된 이 외계행성은 중심별로부터의 거리가 약 0.053AU(1AU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불과하며, 표면온도는 목성의 약 10배(1280도)로 매우 뜨거운 것으로 분석됐다. 우주 관측 역사상 처음으로 태양과 비슷한 별에서 외계행성이 확인된 순간이었다.외계행성 최초 발견은 오랜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일일지는 각자의 생각에 맡기겠습니다.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명예의 전당’ ‘낙원의 샘’ ‘링월드’ ‘신의 망치’ 등이 있고, 최근 달 이야기를 유쾌하게 다룬 책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런데 은을 가늘고 긴 나노와이어로 만들고 이를 그물 구조로 엮으면 그물 사이에 생기는 구멍으로 빛이 통과해 투명해집니다. 또 은 나노와이어 한 가닥은 양 끝을 잡아당겼을 때 늘어나지 않지만, 그물 상태에서는 고기잡이용 그물이 늘어나듯 자유자재로 변형됩니다. 여기에 외부 환경에 따라 ... ...
- 전염병 가는 길 막는 수학모형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감염은 주로 사람과 차량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는 농장 사이의 이동 데이터를 활용해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전파가능성은 확률로 제시되는데, 확률에 따라 농장에 진입하는 도로를 폐쇄하고 이동을 금지하거나, 가축을 살처분하는 등 대응법을 다르게 제시합니다. 또 ... ...
- [수학체험실]원과 직선, 다각형으로 만든 무늬! 별다각형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다각형과 다른 오목다각형의 일종이다. 오목다각형은 적어도 한 내각이 180°에서 360° 사이인 다각형으로, 꼭짓점을 이은 대각선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각형의 외부에 그려진다. 특히 ‘별모양 정다각형’은 모든 변과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고 변이 서로 교차하는 다각형을 말한다. 영국의 ... ...
-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개발했다. 취리히연방공대 스위스지진학서비스(SED) 연구팀은 지진의 규모와 횟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텐베르크-리히터 법칙’에 등장하는 상수인 b값의 변화에 주목했다. 같은 횟수의 지진이 발생할 때 b값이 클수록 지진의 규모가 작고, 반대로 b값이 작을수록 지진의 규모가 크다. ...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승기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는 ‘어류 이종간 이식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5년 11월 2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doi: 10.1038/srep16045연구팀은 영하 80도에서 냉동 보관된 무지개송어에서 살아있는 정자의 줄기세포(정원줄기세포)를 분리해 새끼 산천어의 복강에 이식했다. ... ...
- 담배는 담배일 뿐, 향기에 속지 말자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다.미국도 식품의약국(FDA)의 조사에 따르면 2018년 미국 고등학생의 21%가 ‘지난 한 달 사이 전자담배를 피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2017년(11%)과 비교해 두 배로 늘었다.전자담배의 성분 분석이 안 된 만큼 이런 담배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는 더욱 불분명하다. 미국 미네소타주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