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면에 이산화탄소를 흘려 보내면 통로가 팽창한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지 않은
반대
방향으로 꼬리가 구부러진다. 복잡한 알고리즘은 전혀 필요 없다.미국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드 교수팀도 매우 단순한 연소 시스템을 이용해 눈 깜짝할 새에 공중으로 튀어 오르는 ‘점핑 ... ...
김주황의 악당예찬5 - 중력을 키우기 위해 지구를 꾹꾹 다지다 조드장군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11호는 위성을 끈으로 묶은 뒤 원운동을 시켜 원심력을 만들었다. 원심 력은 회전 중심과
반대
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위성 안 에 있으면 바깥방향으로 중력과 비슷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우주정거장이라면 일단 도넛 모양으로 만든 뒤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약 1500만 년 전 일본 동북쪽에 있는 가장 큰 섬인 혼슈(도쿄가 있는 섬)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본 최남단의 규슈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해가 넓어졌다는 설명이다. 주로 고지자기학자들이 주장한다. 그러나 이 가설로는 1500만 년 전에 나온 일본 이동의 증거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어라, 그럼 지금 동물은 신이 창조했을 때와 다르다는 건가요? 창조과 학회가
반대
하는 진화론처럼 들리는 건 저뿐인가요?성경의 대홍수가 약 4500년 전에 일어났다는 주장은 더 큰 문제를 일으킵니다. 대륙이동설이야 옳지만, 몇천 년 만에 이 정도 변화를 일으킨다는 건 터무니가 없지요. 몇천 년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고르면 다른 소음은 들리지 않게 한답니다. 소노는 분석한 소리와 파형이 똑같지만
반대
로 진행하는 파장을 내보내는 방식으로 소음을 없애요. 모든 소리를 없애는 게 아니라 원하는 소리만 들리게 할 수 있고, 또 듣기 싫은 소리는 소음으로 지정해 다음에 같은 소리가 발생했을 때 안 들리게 할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준결정을 강하게 부정했다.이처럼 준결정을 발견했을 당시에는 셰흐트만 교수의 학설을
반대
하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셰흐트만 교수는 결국 준결정의 존재를 찾아낸 공로로 2011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준결정, 그 논란의 원인은? 당시 결정이란 위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이나 ... ...
남극을 호령할 장보고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우리나라가 위치한 북반구는 12월부터 2월까지 겨울이지만 남극이 있는 남반구는
반대
로 여름이거든요. 앞으로 많은 활약을 기대하며 극지연구소에서 보내온 남극의 멋진 모습을 만나볼까요? 영하 수십℃에서도 사는 남극 생물장보고과학기지는 곧 다가올 겨울을 보내려고 제1차 월동연구대를 ... ...
하늘을 나는 새를 사냥하는 ‘호랑이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살 수 조차 없지요. 너무 실망하지는 말아요. 스미트 박사는 저처럼 먹이사슬 방향과
반대
로 먹잇감을 사냥하는 동물에 대해 앞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거든요. 다른 친구를 찾아보세요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필연적으로 대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운동량이 변한다. 그리고 운동량을 측정하면
반대
로 위치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불확정성원리에 따르면 위치의 부정확도와 운동량의 부정확도의 곱은 플랑크상수보다 커야한다. 이 말은 위치가 정확해지면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되는 날카로운 발톱 대신 둥근 손톱을 갖고 있었습니다. 또한 엄지를 다른 네 발가락과
반대
방향에서 감을 수 있어서 나뭇가지나 열매를 쉽게 움켜쥘 수 있었답니다.영장류의 두 눈은 점차 얼굴 정면을 향했습니다. 숲에서 먹이를 잘 찾으려면 거리감을 발달시켜야 했을 겁니다. 두 눈이 얼굴 양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