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덕분에 많은 아마추어의 사랑을 받는 대상이다. 토성도 목성과 같이 자전주기가 빠르고
밀도
가 낮은 목성형 행성으로서 비중이 물보다 작다. 최근에는 흰반점이 출현해 많은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성의 띠는 역시 갈릴레이가 처음 관측했으나 그 당시 갈릴레이가 사용한 망원경의 성능이 좋지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및 투과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각 조직부위의 초음파전달 속도와
밀도
이다. 속도와
밀도
의 곱을 청각 임피던스라고 하는데, 소리의 반사는 이 청각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의 차이가 클수록 크며, 투과도는 반대로 임피던스의 차이가 적을수록 크게 되어 많은 부분이 투과해 진행하게 된다. 이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기신호로 바꾸어 측정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아직 인간의 피부와 같은 고
밀도
의 정밀한 감촉소자를 구성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가락과 같이 압력과 함께 온도 습도 탄성력 등을 동시에 감지하는 다변수 계측소자가 연구개발 중에 있으므로 이 분야의 촉감센서가 상품화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내에 놓여 있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아인슈타인도 역시 우주를 모든 장소에서 똑같은
밀도
즉 물질의 균일한 분포로 이상화시켰다. 여러 철학적인 이유에서 닫혀진 우주의 모델이 선택됐기 때문이다. 공간이 휘어졌다는 결과로 해서 직선으로 출발한 관측자는 궁극적으로 자기 출발점으로 되돌아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더 커질 수도 있다.현재 위성간격은 평균 3°로 유지할 수 있다. 태평양과 인도양이 조금
밀도
가 낮은 상태이고 대서양 상공은 유럽 미국 캐나다 위성으로 밀집된 상태다. 따라서 이곳의 자리지키기(station keeping) 범위 한계는 한결 좁아 0.1°까지 낮아진다. 쉽게 설명하자면 정지궤도에서 3백60°원을 ... ...
환경오염으로 수난겪는 지중해의 바다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달가운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유명한 관광지의 해저에 들어가 보면 바다풀의
밀도
는 더 떨어진다.바다풀의 수난은 그 주변국가의 수산업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사실 4백㎡의 바다풀은 매년 물고기 2천t을 양육해 왔다.약 50%의 바다풀이 감소하자 프랑스 정부는 ... ...
고선명 텔레비전(HDTV)에는 필수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말한다.HDTV는 화면 대각선 주사선수가 현행 5백25개에서 두배로 늘며 수평 방향의 화소
밀도
도 두배 이상 늘어나기 때문에 선명도는 5배 이상 좋아질 것이다. 화상정보가 늘어나는 것에 부응하려면 한채널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도 늘어나야 한다.정보량을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기준으로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부분은 진공관 전자총 편향시스템 화면 등이다(그림1). 전압이 걸리면 전자총으로부터 고
밀도
전자범이 발생돼 편향시스템으로 들어간다. 이 편향시스템은 전자범을 화면의 원하는 부분에 모으기 위해 사용한다. 가속된 전자범은 화면에 코팅된 형광물질을 때려 여기된(excited) 빛을 방출시킨다.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수해방지 대책은 훨씬 수월할 것이다. 비중(어떤 물질의
밀도
를 그와 같은 체적의 물의
밀도
와 비교한 비)이 13.6인 수은이 홍수가 되어 하천으로 흐른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게 되면 물과 비교하여 같은 무게에서 그 부피는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제방의 높이는 지금보다 낮게 쌓고 오히려 그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시간적으로 모서리 혹은 경계가 있다. 팽창이란 소위 '대폭발 특이점'이라 불리는 무한의
밀도
상태로부터 시작한다. 대폭발을 그려보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시간적으로 수축하는 우주영화를 상상하면 된다. 주어진 우주의 옛날 영역은 움츠러들어 점점 빨리 반경이 0이 될 때까지 수축한다. 이러한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