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회의문자다. 꼬리 파(巴)는 뱀이 똬리를 틀어 똘똘 뭉쳐진 모양을 본 뜬 상형문자로, 결국 살찔 비(肥)는 살이 뭉쳐져 있다는 뜻이다. 즉, 비만은 우리 몸에 살이 뭉친 것이 가득 차 있다는 의미다.비만은 에너지를 쓰는 데 비해 영양소를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생긴다. 그런데 지난 해 교육부에서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덕분에 결국 몸이 가벼워진 공룡이 하늘을 나는 새로 진화했다는 주장과도 통한다. 결국 화석으로 알아낸 동물의 생김새와 생태, 그리고 당시 지구의 기후까지 하나의 스토리로 이어지는 것이다.지금도 전 세계 학자들은 화석을 통해 과거에 대한 퍼즐을 하나하나 맞춰나가고 있다. 언젠가는 인류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홀터스’가 있다”며, “홀터스를 비롯한 다양한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수집하지만 결국 이 정보를 처리하는 곳은 뇌”라고 말했어요. 실제 초파리의 뇌는 소금 알갱이만큼 작아요. 디킨슨 교수는 초파리의 행동과 뇌의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랍니다. 연구팀이 밝혀낸 초파리의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불일치 문제를 복소수로 확장한 것이다. 심지어 30km를 훨씬 더 긴 거리로 바꾸더라도 결국 세 명의 수학자가 탈출할 방법이 반드시 있다.사실 타오 교수의 이번 논문은 여러 검증 절차를 거쳐 유명한 저널에 실린 것이 아니다. 단지 인터넷에 논문을 공개한 것뿐인데, 화제가 되고 있다. 타오 교수가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입학 시험으로 인공지능의 수준을 평가하게 된걸까. 장 교수는 “인공지능의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말했다.결국 우리의 입시가 사라지기 전까지, 이들의 도전은 계속될지 모른다. 앞으로도 쭉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각(14분 24초)이 늦어졌고, 당황한 세종은 예보 담당관인 이천봉에게 곤장형을 내렸다. 결국 세종은 그해 12월에 역법 교정을 명했다.중국의 역법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가 계속해서 오류를 냈던 이유는 ‘기준점’ 때문이었다. 수시력은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기준이 북경이었기 때문에 한양을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자르기도 합니다. 지느러미가 잘린 상어는 헤엄치지 못하고 바닥으로 가라앉습니다. 결국 천천히 죽어가죠.” 상어 지느러미, 일명 ‘샥스핀’은 한 그릇에 최대 100달러를 호가하는 샥스핀 수프의 재료다.박태현 그린피스서울 사무소 해양 캠페이너는 “집어장치를 이용하는 어업방식 때문에 참치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고전물리학은 이처럼 전자기파로 빼앗긴 에너지로 인해 원운동 궤도가 점점 작아지면서, 결국 전자가 원자핵에 충돌해 하나가 될 거라고예측했다. 하지만 우리의 몸이 늘 멀쩡한 데에서 알수 있듯,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MODEL세상의 구조이제 오늘의 주인공,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가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평범한 두뇌로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에게 결국 뒤처지게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에는 뜨거운 연구열정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성실하게 노력하는 것이 훌륭한 과학자가 되는 길이라는 것이다.의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연구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 시스템에 오류가 있는 사람은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EIT로 빛의 속도를 늦추는 데 성공했다.‘느림’과 ‘정지’는 다르다빛 정보는 결국 펄스라는 불연속적인 파동의 모임이다. 알파벳에 비유하면 C, A, T에 해당하는 파동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빛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펄스다. 그런데 이 펄스가 너무 빠를 때는 정보의 양이 엄청나게 커진다.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