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비행 시뮬레이션 또는 가상 수술에는 더 정교한 소리가 필요하다.이럴 때는 사람의 청각적인 특징을 그대로 이용해 녹음하는 방식인 ‘음상정위’기술을 이용한다. 어떤 위치에 있는 스피커에서 소리가 날 때, 좌우 양쪽에 들리는 소리는 미묘하게 다르다. 음원으로부터 거리와 강도에 차이가 있기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10회에 걸쳐 하나씩 공개한 멤버별 티저 영상마다 수수께끼가 숨어 있었는데, 아무 생각 없이 보면 수수께끼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어려웠다. 영상에는 다음 영상이 언제 공개되는지, 누구의 영상인지를 암시하는 단서가 숨어 있었다. 수수께끼를 풀어야 해당 멤버의 화보 사진을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자리가 많아지면 북한에서 온 친구들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기자는 대학생 시절 새터민 짝꿍과 한 학기 동안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처음에는 북한에서 왔다고 얘기해주지 않았지만 가까워지자 마음을 열고 이 사실을 알려줬다. 사실 말투로 인해 이미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움직이는 각도를 측정하고, 균열계는 틈새가 얼마나 벌어지는지 거리를 측정한다. 각도 0.1° 이상, 거리 1mm 이상 벌어지면 연구소로 즉시 주의 신호가 간다. 모니터링 장치는 암반에 균열이 있는 3개 지점을 비롯해 케이블카와 등대 등 주요 구조물에 설치돼 있었다.동행한 박찬 지구환경연구본부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해 온 예측모형은 ‘통행기반의 4단계 모형’이다. 각 지역의 통행량을 계산한 뒤 그 통행이 어떤 길, 어떤 수단을 이용해 이뤄지는지 추적해 현재 교통상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예상교통량을 고려해 교통계획을 짠다. 과거 고도성장기에는 잘 맞는 모델이었다. 자동차의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삼각비표를 보고 읽을 수 있어야 통과한다는 규칙을 꼭 지킬 것!거꾸로 땅따먹기 각 모둠은 특정 범위 내에서 2~3문제를 내고 문제마다 상·중·하로 난이도를 매긴다. 난이도 상 문제를 내면 15cm×15cm의 땅을, 중 문제는 10cm×10cm의 땅을, 하 문제는 5cm×5cm의 땅을 그리고 그 안에 문제와 풀이를 적는다.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엉치뼈는 남성보다 앞뒤로 덜 휘어져 있고 대좌골절흔(greater sciatic notch)이나 치골하각(subpubic angle)은 남성보다 넓다. 경험이 많은 법의인류학자들은 골반 뼈만 가지고도 95% 이상 정확하게 성별을 알 수 있다. 아무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다른 사람의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의 성별을 알 수 있는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내 아이가 둘인디, 적어도 한 명은 딸이여.”“그런가?”“저기 지나가는 쟤가 내 딸이여.”인심 좋은 어느 시골 마을에서 경찰로 근무하는 박종구 씨는 오랜만에 만난 친 ...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느 쪽인가? 수학동아 블로그에서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자 ... ...
- [소프트웨어] 포켓몬 잡으러 GO 동해바다로 GO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와 수직방향으로 y축을 그리면 세 인공위성의 위치와 원을 좌표에 나타낼 수 있어요. 각 반지름은 ‘빛의 속도×시간차’로 구합니다.원 두 개만으로도 (x, y)를 구할 수 있는데, 굳이 세 개를 그리는 이유는 좀 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서지요. 흔히 A와 B의 방정식으로 해를 구하면 x는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힐베르트 호텔을 구현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많습니다. 힐베르트가 힐베르트 호텔을 생각한 이유는 사람들에게 무한의 역설을 소개하기 위함이지, 호텔방의 손님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번 연구는 둘 중 후자에 방점이 찍힌 연구예요.방정호 한양대 연구조교수는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