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6800년을 날아온 손님, 니오와이즈 혜성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니오와이즈 혜성이 지구를 찾아왔습니다. 1997년에 지구 주변을 지나간 헤일-밥 혜성 이후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혜성은 니오와이즈 혜성이 23년 ... 지구에 떨어질
가능
성은 없습니다. 니오와이즈 혜성의 다음 관측은 약 6800년 후에나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편집자 주. 중국은 2020년 7월 23일 자국의 화성탐사선 ‘톈원-1’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중국 신화통신은 이날 12시 41분 하이난성 원창우주발사센터에서 ‘톈원-1 ... “창어 프로젝트는 중국 우주항공 분야의 대외 개방 협력 플랫폼”이라며 국제협력의
가능
성을 제시한 바 있다 ...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보통난이도 눈밭을 달리던 호랑이 두 마리가 사냥감을 덮치듯 튀어 오른다. 앞서 있는 호랑이의 살짝 벌린 입 사이로 날카로운 송곳니가 보인다. 뒤따라오는 호랑이 ... 알 수 없다. 세밀한 부분에서 부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색한 결과에 오히려 후회할
가능
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 ...
'갤럭시 A 퀀텀'에 탑재됐다는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엇?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핵무기의 지하 폭발 탐지 등의 확률을 측정할 때도 난수가 사용된다. 난수는 예측이 불
가능
한 만큼 생성 방법이 결정돼 있지 않다. 그래서 고전적으로는 수학 알고리즘을 만들고, ‘시드’라고 불리는 초기값만 입력한 뒤 무작위하게 ‘보이는’ 난수를 생성했다. 이런 난수를 진짜 난수와 구별해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공학적인 취미를 충족시키면서 과학 연구까지 해나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가능
하다면 외국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공부를 하고 싶었다. 블랙홀 관측 기기를 직접 만들다대학원 진학 준비는 다행히 순조로웠다. 2013년 4월에는 그해 가을 입학 합격 통지를 받은 미국 대학들을 방문할 ... ...
[나의 독일유학일기] 시험 기간이 방학 중에? 방학 같지 않은 방학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이런 상황에서도
가능
한 우수한 학생을 많이 뽑으려a고 한다. 일단 최대 정원에 맞춰
가능
한 많은 학생을 뽑는다. 입학 기준 점수가 매우 낮은 이유다. 그 이후에 학과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못 맞춘 학생들은 낙제시킨다. 그래서 시험을 보기 위해 공부할 양도 많고, 문제도 굉장히 어렵다. 독일의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19년 11월호)에서 다뤘던 ‘도시와 별’처럼 인간이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유토피아를 만들
가능
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곳도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인구수에 제한을 뒀습니다. 남의 통제를 받는다는 건 어떤 식으로든 자유를 잃는 겁니다. 아무래도 매트릭스처럼 전쟁에서 지는 일이 생기지 않는 한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쓴다.유전자를 조작한 바이러스는 이론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다시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
성이 있다. 때문에 생백신에 사용되는 바이러스는 배양횟수를 제한해 안전성을 확보한다.사백신은 바이러스에 포르말린 같은 화학물질을 처리하거나, 배양 환경의 온도 등을 조절해 바이러스를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바이러스는 같은 바이러스가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유행을 예측하기도 불
가능
하다. 백신 후보물질을 찾았더라도 바이러스 중요 부위에 돌연변이가 일어난다면 백신 개발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 2002년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로 인해 발병한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012년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개발했습니다. 일종의 인조 성층권이죠. 이는 폭과 깊이가 1.5m, 높이가 2m인 온도 조절이
가능
한 박스형 챔버로, 밖에 연결된 다양한 장치들로 고층 대기 환경을 만들어요. 우선, 제논(Xe) 램프로 자연 빛에 가장 가까운 빛을 쏴 챔버 안에 태양빛을 만들어요. 그리고 습도 발생 장치와 일정한 속도로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