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링네트(ring net)는 산 아래로 떨어지는 돌과 나무를 막고 물만 통과시킨다. 충격을 잘
흡수
하고 설치가 쉽다. 이 밖에 어도일체형(魚道一體型) 사방댐도 계곡물이 잘 흐르도록 설치하는 댐 모양의 시설이다. 밑에 입구가 있어 물고기가 지나갈 수 있는 친환경적 구조물이다.국립산림과학원 복원연구실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학술지인 ‘식물 생리학’(Plant Physiology)에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식물이 중금속을
흡수
하면 아예 중금속과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도 있다. 파이토킬레틴(phytochelatin)과 메탈로타이아닌(metallothionein)이 대표적 예다. 이들은 아미노산 내의 황산기를 중금속과 결합시켜 중금속의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이 활성화된 것. 연구팀은 오스모틴의 화학구조가 당
흡수
를 방해하는 아디포넥틴과 비슷하다는 것도 확인했다. 그렇다고 과일만 먹으면 살이 찌지 않는 것은 아니다. 과일에는 당분이 많아 채소보다 당지수가 일반적으로 더 높기 때문. 손숙미 교수는 “과일은 식후보다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유전자에서 찾고 있다. 사람마다 다른 유전적 다양성이 영양소를
흡수
하고, 대사시키며, 저장하고 배설하는 능력에 차이를 만들어 결국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요즘 각광받고 있는 ‘영양유전체학’의 기본 전제다.서양인이 우유 잘 마시는 이유염색체에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여겼던 것이다. 일례로 플라스틱 핸들은 유연성이 있어 달릴 때 길에서 받는 충격을 잘
흡수
했지만, 사람들은 그로 인해 핸들이 흔들려 오히려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다. 이테라사는 나중에 플라스틱자전거의 핸들만 다시 강관으로 되돌리기도 했지만 소비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는 없었다.결국 ... ...
철분이 부족해? 선짓국 먹어봐! 적혈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안에 피가 많아진다고 볼 수는 없다. 단 소 혈액의 헤모글로빈에 있는 철분은 사람 몸에
흡수
된다. 따라서 철분이 부족해 헤모글로빈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못한 철 결핍성 빈혈 환자의 경우 선지해장국을 먹으면 도움이 될 수 있다.백혈구는 우리 몸을 방어한다. 백혈구는 몸속에 들어온 병원균을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런 어려움 속에도 최소한 5년 이상 대관령관측소를 운영해 우리나라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CO₂전쟁’ 시작됐다2012년까지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1990년 수준에서 5% 줄이자는 기후협약이 지난 2월 발효되면서 세계 곳곳에서 ‘이산화탄소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미칠 피해를 걱정하고 있다. 인도양에서 발견된 거대한 규모의 갈색구름 띠가 햇빛을
흡수
하거나 산란시켜 지표면에 도달하는 햇빛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해양에서의 수증기 증발량이 줄어들어 강수량이 줄게 되며, 따라서 농업생산량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쌀과 콩 등은 생산량이 20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렇게 핵분열된 두 파편은 주위 암세포를 정확히 죽이게 된다. 김영진 박사는 “붕소를
흡수
한 세포만을 정확히 공격할 수 있어 일반세포에 대한 방사선 조사효과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없앨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런 치료방식은 암 가운데 특히 치료가 어려운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톱밥을 3:7 정도의 비율로 섞어 배합쓰레기를 만든다.“톱밥이 음식물쓰레기 속의 수분을
흡수
합니다. 그래서 음식물쓰레기가 썩으면서 생기는 침출수가 나오지 않고, 수분 함유량도 60% 정도로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죠.”에버랜드 리조트사업부 환경안전팀 최채식씨의 설명이다. 배합쓰레기를 약 1L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