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초기우주★의 모습을 보고 있다. 138억 년을 날아온 빛과학자들은 주로 빛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한다. 이런 빛은 모두 과거에서 온다. 이 말이 이상하게 느껴진다면 잘 생각해 보자. 빛은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이나 돌 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 속도가 있다고 ...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에스허르가 사용한 착시 도형을 만나볼 수 있어요. 에스허르는 영국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가 개발한 착시 도형인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단’ 등 다양한 착시 도형을 작품에 담았어요.펜로즈 삼각형은 보는 방향에 따라서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도형이에요. 어떤 방향에서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전적 진화’를 투고한 뒤였다. 뭔가 새로운 전기가 필요했다. 브라질의 저명한 곤충학자 워윅 커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의 실험실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지내면서 말벌의 행동을 연구하고 싶다고 부탁했다. 커로부터 긍정적인 답장이 돌아왔다. 브라질에서 해밀턴은 현장 연구를 하랴, 포르투갈어를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부위와 단단하게 붙어야 하지만, 의수는 그렇게 큰 무게를 지탱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학자들은 의수가 의족보다 먼저 태어났으리라 생각하지만, 유물만 놓고 보면 의족이 먼저 만들어졌다(서기 77년경). 의수는 그보다 400년 정도 늦게 나타났다. 후크의 갈고리 모양 등 뭔가 기능과 모양이 더해진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이런 상상을 잘하는 사람이 수학 실력도 뛰어날까요?미국 에모리대 심리학자 스텔라 로렌코 연구팀은 돌 전후 아기의 공간 추론 능력으로 4살 어린이의 수학실력을 가늠할 수 있다고 ‘심리과학지’ 8월 15일자에 밝혔습니다.먼저 연구팀은 생후 6개월에서 13개월 사이의 유아 63명을 대상으로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만든 ‘리히터 규모’에 따르면, 지진파 에너지 E의 크기는 1011.8×101.5×M과 같습니다. 여기서 M이 지진의 규모입니다.이 공식을 이용해 규모가 4인 지진과 규모가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해에 짝을 잃는 양말이 무려 8400만 개라고 해요. 비용으로 따지면 어마어마하겠지요. 통계학자 조프 엘리스는 양말을 잃어버릴 확률을 예측하는 수학식을 만들었어요. 양말의 크기와 빨래하는 날의 기분, 그리고 주머니 뒤집힌 것을 확인하는 주의력과 몇 번이나 나눠 빨래하는지 등을 이용해 수식을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태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네트워크’다. 네트워크가 풍부할수록 생태계는 건강하다. 또 개체가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그 개체 ... 노벨상 씨앗 자란다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춤춰라! 스파인캐나다 맥길대에서 전자기기와 음악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이자 음악가인 조셉 말로슈가 고안해 3D프린터로 인쇄해 만든 악기다. 이름대로 척추처럼 생겼다. 스파인은 무척 예민해서 조금만 구부리거나 비틀어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미디 콘트롤러가 다른 음을 낸다. 이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상황을 제시하지 않더라도 ‘F=ma’라는 식만으로 힘을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요. 물리학자의 마음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이선민 시간이 꽤 오래 걸리는 작업일 것 같습니다.허충길 맞습니다. 하지만 꼭 필요한 작업이고, 아직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연구라 의욕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마 회사에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