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도 있는 일이었다. 그렇게 모든 데이터를 쭉 같이 살펴보다가 모순된 데이터를 하나 찾을 수 있었다. 한 논문에서 고토 박사와 핀키엘스테인 교수님은 PER 단백질이 p53 단백질을 안정화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PER 단백질의 양이 24시간 주기로 변하니 PER 단백질이 많을 때 p53 단백질은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달아놓은 것이다. 한국 사람 모두가 고유의 주민등록번호를 갖고 있듯이, 고유한 물건 하나에 고유의 꼬리표를 달아놓는 일종의 원본 인증서인 셈이다. 올해 3월부터 20여 점의 NFT 작품을 판매한 김현진 작가는 “작가 입장에서 NFT 작품 제작의 장점은 ‘디지털 노마드’처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있어서 데이터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M3D도 치명적 단점이 있다. 하나의 반도체를 만들고 그 위에 바로 또 다른 반도체를 만들면, 제조 과정에서 아래에 있는 반도체가 열로 손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낮은 열로 만들면 위에 있는 반도체의 제 성능이 안 나온다. 이에 ... ...
- [긱블X과학동아] 프X글스 리프터│나중의 편함을 위해 지금의 귀찮음을 감수한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기어가 돌아가면서 세 개의 와이어도 동시에 당겨지죠. 그러면 세 와이어 끝에 연결된 하나의 원형 부품이 서서히 위로 올라옵니다. 글로 설명하려니 좀 복잡하지만, 설계도를 한 번 보면 금방 이해가 될 겁니다. 부드러운 기어 작동 비밀은 백래시가장 기본적인 기어 형태를 사용해서 조금 심심해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펠티에 소자로 만드는 작고 소중한 에어컨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퀴리, 아이작 뉴턴 등 익숙한 이름 사이에서 무더운 여름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이름이 하나 뇌리를 스칩니다. 에어컨을 발명한, 윌리스 캐리어입니다. 그가 없었다면 여름이 얼마나 끔찍했을지 상상하기도 싫습니다. 이번에는 캐리어의 업적을 기억하며 에어컨을 만들어 봅시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 ...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종식됐다. 너드슨 교수는 위상수학의 개념을 빨대에 적용해 설명했다. 빨대는 구멍이 하나인 도넛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이었다.수학 개념을 설명하는 데 이보다 더 명쾌하고 흥미로운 방법이 있을까. 사람들은 자신이 수학을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빨대의 구멍 개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구멍은 그냥 다른 방이에요.”딱지가 말했습니다. 모두 마찬가지였습니다.“좋아. 그럼 하나 남은 구멍이 바로 처음 들어온 구멍일 거야. 거기로 가자!”하지만 그곳 역시 또 다른 방이었습니다.“으아, 이게 어떻게 된 거지?”“프로보한테 연락도 안 되고. 이대로 우리도 여기서 미라가 되는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메르카토르의 북극 지도 : 최초로 만들어진 북극의 지리적인 지도. 북극을 4등분 된 하나의 대륙으로 표현하고, 가운데에 우뚝 솟은 검은 바위를 나타냈다. 18세기, 프랑스 카시니의 지도 : 눈으로 보고 만들었던 지도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최초로 위치, 면적 등을 측정해 만든 지도. 프랑스 카시니 ... ...
- [기획] MS부터 일론 머스크까지,탄소 감축에 돈을 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지구온난화가 발생하자, 이를 제거할 해결책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지요. 머스크가 세운 재단 ‘엑스프라이즈’는 올해 4월 22일 지구의 날부터 4년간 ‘엑스프라이즈 탄소 제거’ 경연대회를 열기로 했어요. 참가팀은 대기나 해양의 이산화탄소를 약 10억 톤만큼 ... ...
- [수학뉴스] 축구 골에 숨은 ‘운’ 수학으로 분석하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7개 시즌 동안 진행했던 축구 경기의 60% 이상이 무승부 또는 1골 차이로 끝난 만큼, 하나의 무작위 골만으로도 경기 결과를 크게 바꿀 수 있다”며 “골에 영향을 주는 우연한 상황을 훈련에 접목하는 데 이번 연구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포츠 과학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