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가 있다? 없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착시를 이용한 것입니다. 가운데가 낮은 경사로지만 각 기둥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
하면 특정 방향에서는 마치 가운데가 높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지요.이러한 착시 연구는 눈의 기본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시각과 관련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중요하게 쓰입니다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약물의 농도를
조절
해 일일히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개인에게 알맞은 복용량을 찾기 위한 공식을 알아내 검증하고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여러 유전자 간의 복합적인 관계나 환경적인 요인까지 수치화할 수 있다면, 더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란히 붙인다. 이때 렌즈의 초점마다 좌우 영상이 한 쌍씩 대응되도록 렌즈의 위치를 잘
조절
한다. 좌우 영상은 렌즈에 굴절돼 각각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나뉘어 들어간다. 빛이 꺾이는 각도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된다.이는 보는 각도에 따라 그림이 다르게 ... ...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목에는 부레가 들어 있어 물속에서도 똑바로 선다. 부레 안에 들어 있는 공기의 양을
조절
해 뜨거나 가라앉는다.지느러미가 있지만 몸집에 비해 아주 작아 헤엄치는 속도가 엄청 느리다. 등 아랫부분에 뿔처럼 달려 있는 것이 등지느러미, 머리 양옆에 귀처럼 붙어 있는 것이 가슴지느러미다.아무리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안구의 길이를 늘리면서 초점이 맺히는 위치를 앞쪽으로 당겨 망막 위에 맺힐 수 있도록
조절
한다. 라식이나 라섹 수술이 각막의 주변부를 깎아 원시를 교정하는 것과 원리가 같다.Q3. 부작용은 없을까 자는 동안 착용하는 렌즈다 보니,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은 렌즈가 눈 속에서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후각수용체를 거쳐 후각신경을 타고 뇌의 변연계로 보내진다. 변연계는 인간의 감정을
조절
하는 기관이다.이처럼 숨을 쉴 때 냄새 분자가 만든 신호가 뇌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감각 기관 중에서도 후각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냄새를 맡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도 무려 1000여 개로, 우리 몸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심각한 위협으로 떠올랐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홍도는 최근 들어 개체 수가
조절
되고 있지만 흑산도는 섬 깊이 숨어버리는 말썽쟁이 고양이들로 아직도 골머리를 썩고 있는 실정이다.건물 유리창에 부딪쳐 목숨을 잃는 새도 해마다 늘고 있다. 일명 ‘윈도스트라이크(Window Strike)’로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하게 먹는 것이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저녁을 굶는 것도 과식을 유발해 체중
조절
을 방해한다”고 설명한다.그에 따르면 저녁 식사를 거르면 다음 식사까지 공복 시간이 길어져 인슐린이 감소하고 그렐린이 증가한다. 그렐린은 배고픔을 느끼게 하는 식욕 호르몬이다. 오 교수는 또 ... ...
내면의 조율사,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상담을 받았다. 그는 분노를 자제해야 한다는 걸 스스로 잘 알았다. 그런데 그게 영
조절
이 안 되니 고민일 수밖에. 그는 직원들한테 화낸 뒤 아차 싶어 회식을 시켜 주거나 선물을 사주곤 했다. 사소한 일에 또 화를 낸 자신의 행동을 그런 식으로 보상했다. 하지만 그때를 제외하곤 계속해서 뭔가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데시벨)의 음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레이저광의 파장과 물속을 통과하는 시간을
조절
하면 원하는 음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빛으로 만든 음파는 어떻게 활용될까. 전자기파는 물속에서 금방 약해져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어렵지만 음파는 물속에서도 멀리까지 전달되므로 해저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