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문제 없겠지? 박쥐야~! 나를 도와 함께 지구를 정복하지 않을래?닥터 그랜마 : 쥐야, 안녕? 자기 소개를 부탁해.박쥐 : 안녕하세요? 저는 유일하게 날 수 있는 포유류, 박쥐예요. 시력이 좋진 않지만 음파를 이용해 자유자재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지요. 사람들은 이런 제 능력에서 힌트를 얻어 ...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리고 이를 전후로 실험참가자가 A가 속한 집단이 고통을 겪는 영상을 보게 했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참가자의 뇌를 촬영한 결과, A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난 뒤에는 전방 섬상 세포군 피질(anterior insular cortex)의 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 부분은 타인에게 공감하는 능력과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은 “내면 깊은 곳의 표현이자, 동시에 스스로 편안함을 얻기 위한 방편”이라며 “자기 증상을 표현하면 오히려 스트레스가 완화된다”고 설명했다.미국 작가 헨리 다거가 그린 소설 삽화 중 하나로, 위 그림은 이 작품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어른들로부터 쫓기는 여자 아이들의 모습을 담고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해 설치됐다고 해요. 엘리베이터 역시 진동이 없는 특수 엘리베이터이고, 클린룸에 자기장 영향이 없도록 건물의 철근 기둥도 지름이 5m를 넘지 않도록 설계했다고 하네요.1층 클린룸의 창문은 통유리니까 마음껏 구경해 보세요. 하루의 마무리는 반전 옥상에서현재 이곳에서는 배터리, 플렉시블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았다. 김동환 탐사대원은 “바다와 섬을 찾는 사람들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또 자기가 만든 쓰레기를 스스로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따뜻한 바닷물에 안겨 동식물을 실컷 탐사한 대원들은 다음 날 ‘인어공주’를 만나기 위해 리봉 섬으로 향했다.‘인어공주’와 바다 살리는 해초 심기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싸우고 확실히 서열을 정하는 그들의 규칙’ 덕분이라고 답했다. 온순한 동물은 보통 자기들끼리 싸우는 일을 피해가며 살아가지만, 붉은털원숭이는 빨리 힘겨루기를 끝내고 확실히 서열을 정하는 것이 사회를 유지하는 비결인 것이다. 붉은털원숭이는 원숭이 중에서도 무리가 아주 큰 편에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선호, 형제 간의 다툼, 조부모의 손주 챙기기, 친족이 아닌 사람 간의 협력, 영웅적인 자기희생, 국가에 대한 충성 같은 다양한 주제들을 잘 설명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그 첫걸음을 아쿠아리움에서 시작하자.풀잎 해룡을 찾아라!얼마 전 롯데월드몰 아쿠아리움을 7살 난 아들과 함께 방문했다. 깊고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액시온을 검출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자기장 세기의 제곱에 비례해 높아진다”며 “자기장 세기가 8T(테슬라)인 검출기부터 시작해 최종적으로 40T까지 총 7대의 검출기를 제작해 액시온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3. 직접 입자를 만든다미래 물리학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하늘만 바라보고 있을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30초씩 미리 보여준 뒤, 실제로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측정했다.실험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50%가량 더 많이 길찾기에 성공했다. 이때 뇌의 반응을 비교해 보니, 남자는 여자보다 해마 부위가 활발하게 반응했고, 여자는 남자보다 전두엽이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한편으로 음파유전학이나 자기유전학 등이 주목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음파나 자기장은 빛과 달리 피부와 두개골을 통과할 수 있어, 광섬유를 집어넣지 않아도 뇌 속으로 자극을 배달할 수 있다. 유전자 삽입이 더 큰 문제사실 뇌 안에 빛에너지를 배달하는 것은 다른 문제에 비하면 작은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