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망가지면, 그 부분을 스스로 떨어뜨리고 새 모듈로 교체할 수 있다. 자가 치유의 비결은 인간의 신경계를 모방한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해 외부에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연결 모듈을 끊거나, 새로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6, GPR120)를 확인했고, 이들 지방산이 미각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인간의 혀에도 CD36이 존재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CD36의 역할이 면역세포와 지방세포, 근육세포, 장세포 등에서 지방산과 결합해 세포 내 신호 전달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산 맛이 제6의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같은 비판자들은 ‘이기적 유전자’라는 문구가 이기적인 의도를 실제로 지닌 유전자가 인간을 꼭두각시처럼 조종하는 극단적인 유전자 결정론을 내포한다며 분노했다. 과학사회학자인 김동광 고려대 과학기술학연구소 연구원은 2010년에 발표한 논문 ‘사회생물학의 인식론적 경향, 그리고 그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하지 않겠습니다. 앞으로도 영원히. 그런 걸 알아야 하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습니다. 인간은 절대로 그런 것을 알아서는 안 됩니다. 어쨌거나 저는 그 끈적끈적한 사막을 헤쳐 나왔고, 지금은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영생이 허락된 세상을 여유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거면 됐습니다. 우리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인간은 숨을 참고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보통은 길어봐야 1분 안팎이지만, 특별한 인간(?)도 있다. 무려 24분 3초 동안 숨을 참아 기네스북에 올랐다(수영장에서 얼굴만 물속에 넣고 측정한 최고 기록. 따라하면 안 됨!). 산소 없이 무려 18분을 버티는 ‘지독한’ 포유동물도 최근 발견됐다. 물론,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나타났다. 따라서 우주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그리 대단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지구 전체를 바꾼 최초의 생물이다. 이런 관점을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가지려 하다니! 저도 오빠에게 무조건 작은 방에 가라고 하는 게 아니에요. 오빠도 인간이면 합리적으로 나눌 방도를 찾자고요! 방을 나누는 건 어려운 문제지. 다행인 건 부모님이 “어떻게 하든 누군가는 불만을 가질 테니 네가 참아”라고 말한다면 이 말은 틀렸다는 거야. 수학자 프란시스 수가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댄 타마요 박사후연구원은 토성의 고리들과 주요 위성의 공진 주기를 27옥타브 증가시켜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범위의 음계로 변환했다.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주요 위성들은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진 주기에도 수학적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중 하나인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0만 배럴에서 150만 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땅속에서 배출되고 있다. 석유 유출이라고 하면 인간에 의한 해양사고를 떠올리지만, 이곳 바다에서는 광범위한 해양오염이 자연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아스팔트 화산은 이런 석유 유출의 결과로 생성된 지형이다. 이렇게 유출된 석유는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고통의 원인이 허상 때문이라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철학이 질문을 던지는 인간 본질에 대한 해답은 생각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뺄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리라.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