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파텍 필립도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와 협력해 연구소를 운영한다. 2014년, 해당 연구소의 수학자 일란 바르디는 이스케이프 휠이 없는 기계식 진동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스마트폰이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요즘, 기계식 시계는 어찌 보면 쓸데없지만 놀랍도록 독창적이다. 당장 ... ...
- [과학뉴스]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깨끗하게 닦은 뼈들로 전체 골격을 구성해 2017년 12월 6일 위트와테르스란트대 진화연구소에서 대중에게 공개했다. 클라크 교수는 “초기 인류의 외관 골격과 해부학적 구조, 운동 능력 등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디스플레이를 접었다 펼 수 있게 양산하는 데 있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에 재직하는 동안 폴더블폰을 양산하기 위한 기술 개발 과정 전반을 이끌었다. 현재는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켜 시장에 출시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처음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된 계기다. 필자는 연세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2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 입사했다. 지금 보면 드라마 ‘응답하라’의 향수를 자극하는 옛날 기술이지만, 당시 국내 과학계의 도약은 눈부셨다. 이때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64MB(메가바이트) D램 메모리를 개발해 세상을 놀라게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0년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두 개의 알루미늄 이온 광격자 시계를 이용해, 하나는 지표면에 두고 하나는 지상 33cm에 놓은 뒤 시간차를 측정한 실험을 진행해 79년간 90억 분의 1초만큼의 시간 차이가 난다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와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상대로 이기는 장면을 전 세계가 목격했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가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뛰어넘을 거라고 예측한 것보다 10년 정도 빠른 시기였죠. 지능뿐만이 아닙니다. 최근 보행로봇을 개발하는 회사인 미국의 보스턴 다이나믹스는 걷고 뛰는 것은 물론이고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주제로 한 총회인 만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도 배웠어요. 국토환경연구소 최동진 박사님, 서울대학교 한무영 교수님은 “샤워 시간을 줄이고 빗물을 재활용하는 것만으로도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 환경보호를 위한 행동은 어른들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실험을 하고 있는 라제시 라오 교수와 안드레아 스토코 교수의 모습. 하버드대 와이스연구소의 코너 월시 교수가 개발한 소프트 로봇은 뼈대가 호스 모양의 와이어로 만들어졌어요. 이 로봇은 센서가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한 뒤, 와이어 모터에 신호를 보내요. 그럼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훨씬 적은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생김새가 독특한 공룡으로 손꼽혀요. 머리 윗부분에 두껍고 단단한 머리뼈(두개골)가 있거든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두꺼운 머리뼈를 박치기 할 때 썼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과연 이 공룡은 머리를 맞대고 박치기를 했을까요? 박치기 공룡, 파키케팔 ... ...
-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안녕, 난 거리를 헤매는 음료수 캔이야! 밤마다 하늘에 반짝이는 별이 된 내 모습을 꿈꾸지. 다 쓰고 버려진 캔이 어떻게 별이 될 수 있냐고? 놀라지 마. 큐브샛이 되어 우주로 날아가면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일 수 있다는 얘길 들었어. 내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