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식될 만큼 최근 AI 대부분은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된다.문제는 딥러닝 AI가 학습하는 여러 단계 중에는 사람이 알아낼 수 없는 숨겨진 단계(hidden layer)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개발자조차 AI가 왜 그런 방식으로 작동했는지 알 수 없다. 이 탓에 ‘답은 맞는데 풀이과정은 알 수 없는 AI’로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풀 수 있다.에니그마는 타자기처럼 쓰는 암호다. 알파벳을 입력하면 타자기 안에 맞물린 여러 톱니바퀴가 돌아가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뀌어 나온다. 침몰한 독일 잠수함에서 암호책과 기계를 발견해 에니그마의 작동 원리는 알 수 있었지만, 암호체계가 매일 바뀌었기 때문에 24시간 안에 암호를 ... ...
- [가상인터뷰] 시끄러운 터널 폭발음, 상어가 해결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터널 구조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상어의 입과 아가미처럼 압력을 분산시키는 구멍을 여러 개 뚫은 특별한 구조물로, 터널 입구 바깥에 설치됐어. 그 후 고속열차를 통과시켜 보았더니, 터널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줄어들어 폭발음도 줄었지. 폭발음이 얼마나 줄어들었어?터널 폭발음을 줄이기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회장을 맡기도 했어요. 물론 지질학자로서 동굴 연구도 즐겁지만, 다양한 모습의 여러 동굴을 탐험하는 것도 즐거운 일이에요. 깜깜한 어둠 속에서 줄을 타고 수십 미터를 내려갈 때 무섭고 좁은 틈을 통과할 땐 몸이 고되지만, 멋진 동굴을 보면 이 아름다운 광경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선택받은 ... ...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움직이거나 양옆으로 기우는 것만 가능해 덜 자유롭습니다. 물론 프로펠러가 많을수록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좋지만, 취미로 즐기기에는 드론의 프로펠러가 4개면 충분합니다. 드론이 떠올라서 신난 것도 잠시, 조종이 생각만큼 쉽지 않았습니다. 자꾸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결과 극지연구원들의 해마 부피가 대조군에 비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마의 여러 세부 부위 중에서도 가장 큰 폭으로 크기가 줄어든 곳은 해마로 향하는 정보가 거치는 통로인 치상회(7.2%)였다. 회백질의 부피도 뇌 전체에 걸쳐 줄었는데, 왼쪽 해마곁이랑 부분 회백질이 3.8%, 오른쪽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습도와 온도를 맞춰줄 수 있고 공간도 널찍하다. 칸칸이 다른 온도와 습도를 설정해 여러 동물을 겨우내 재운 적도 있다. 물론 냉장고에 동물을 넣어두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잠깐 깼을 때 마실 물과 몸을 숨길 은신처도 조성해줘야 한다. 냉장고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2~4주에 한 번씩 깨워 ... ...
- 수학과 손 JOB아야 일할 수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중요한 특징을 찾아내고, 결정을 내리는 모든 과정이 데이터 분석이랍니다. 통계 │ 여러 현상에 대한 자료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숫자로 나타낸 거예요. 어떤 사건이 왜 일어났는지 추측하고 이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는 모든 과정이 통계라고 할 수 있어요. 초등수학에서 배우는 ‘자료와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호랑이와 코끼리 사진을 여러 장 준비해 보여주면 돼요. 인공지능은 호랑이와 코끼리의 여러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다 마침내 둘을 구분해내는 판단 기준인 ‘모델’을 자동으로 만들어내지요.이번 호에서는 모델을 이용해 가족의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 ...
- [특집] AI의 시력을 높여주는 '행렬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얻은 물체의 특징을 이용해 이미지를 분류하는 과정입니다. 합성곱층과 풀링층 단계를 여러번 거치면서 정보가 충분히 작아졌기 때문에, 이번에는 각각의 숫자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숫자를 일렬로 나열해 1차원의 벡터로 나타내고, 각 성분끼리 연산해서 물체를 구별할 수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