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노화와 뇌질환의 열쇠진핵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내는 에너지(ATP) 덕분에 복잡한
생명
체로 진화했다. 하지만 여기에도 그림자가 있다. 요즘 한창 문제가 되는 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처럼,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만들 때도 요란한 불청객이 찾아온다. ‘활성산소(ROS)’라고 불리는 이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
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등의 휘발성 물질로 이뤄져 있죠. 포에베 버그는 이 행성에서 퍼지기 시작한
생명
체입니다. 과연 이런 극한 환경에서도 세균이 살 수 있을까요.방사능과 극저온에서도 살아남는 세균지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극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세균이 발견됐습니다. 그 중에는 강한 방사능을 견딜 수 있는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작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는 재난 상황에서 짧은 시간 동안 임시로
생명
을 유지하거나 구조 요청을 보내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며 “미군 등에서 적군 정찰 목적으로 동물을 훈련시킬 때 웨어러블 소형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려고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동물 몸에 카메라나 ... ...
[Knowledge]
생명
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결론을 내리고 이를 ‘자연 선택의 근본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피셔는 이 정리가
생명
과학에서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며 열역학 제2법칙에 비견할 만하다고 주장했다.피셔의 극성 팬을 자처했던 해밀턴은 이 근본정리가 유독 사회적 행동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했다. 달리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275g이나 들어 있지요. 이처럼 사해는 일반 바닷물에 비해 7배 이상 염도가 높아 물고기 등
생명
체가 살 수 없는 죽은 바다가 돼 버렸어요.사해에서 가만히 있어도 둥둥 떠 있을 수 있는 이유도 염도가 높기 때문이에요. 물체를 물속에 넣으면, 물체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중력’과 반대로 물 위로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11%뿐대체 재현성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기에 이렇게까지 하는 걸까요? 2012년 미국의
생명
과학자 글렌 베글리가 에 쓴 글을 보면 깜짝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 10년간 발표된 암 관련 주요 연구 53건 중에서 단 6개만이 재현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베글리는 당시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 ...
[Editor’s Note] 역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만드는 합성생물학을 특집으로 소개했다. 굳이 분류하자면 각각 기계의 인간-되기,
생명
의 기계-되기라고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짚는다. 인간 안에 기계를 심고, 몸의 일부를 인공물로 대체하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다. 이제는 인간이 기계-되기를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경우 간세포가 괴사하거나 위와 쓸개가 비대해지는 증상이 나타났다.조경현 영남대 의
생명
공학과 교수는 2012년 독성실험에 많이 쓰이는 어류인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폐뿐만 아니라 심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살균제로 죽은 제브라피쉬를 해부한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글리코실화 패턴두 번째 단서는 겉모습이다. 범인을 잡을 때 몽타주를 그리는 것처럼
생명
과학자들도 지카바이러스의 생김새 파악에 나서고 있다. 구조를 정확히 알면 약점을 파악할 수 있어 백신이나 신약을 개발할 때 유리하다. 하지만 지카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광학현미경으로는 모습을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