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상자료를 컴퓨터가 소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놓고 감광센서를 움직여 읽어들이는 플랫베드 방식과 팩시밀리처럼 고정된 감광센서
밑
으로 종이를 이동시켜 입력받는 시트피드 방식으로 나뉜다.플랫베드 방식은 해상도가 매우 뛰어나 탁상출판이나 그래픽 전문가들 사이에 애용되고 있다. 반면 시트피드 방식은 원본을 움직여 입력받으므로 ... ...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바다로 흘러들지 않았던 것. 해류를 바꿔줄 바람조차 시원하게 불지않아 바다
밑
에 가라앉아 있는 양분이 떠오를 수가 없었다는게 아귈라박사의 설명이다.또 돌고래들이 떠밀려온 해안이 발렌시아 알리칸테 발레아군도를 잇는 삼각지대인 것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곳은 관광객들이 몰리기로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나무에 그대로 부딪친다. 이때 발에 나있는 날카로운 가시를 재빨리 나무껍질에 걸어
밑
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투구벌레(장수풍뎅이)의 성충은 7,8월에 나타나 주로 야간에 활동하며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버드나무 등의 즙을 빨아먹고 산다. 가끔 그들은 등불을 향해 무작정 날아들기도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목성과 같이 거대한 가스의 행성이지만 목성보다는 크기와 질량이 조금 작아서 바로
밑
의 동생뻘이다.토성의 질량은 5.69×${10}^{26}$㎏으로 지구의 95.1배이고, 적도 지름은 12만㎞로 지구의 9.41배이다. 토성은 크기와 질량에서 목성 다음으로 큰 행성이다. 그러나 밀도는 1㎤당 0.7g. 이는 물의 밀도보다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공기압력은 공의 아래쪽에 세게 가해지고 위쪽에는 약하게 미친다. 그러면 당연히 공은
밑
에서 위로 치솟게 된다. 이를 테면 공에 양력이 생기는 것이다.타자앞에서 공이 솟아 오르는 이유를 물리학적으로 보다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도 이미 나와 있다. 하지만 분석과정에서 상당히 복잡한 수식이 ... ...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비교적 높아 파력발전 이용 가능성이 높을 뿐만아니라 북상하는 쿠로시오 난류와 바다
밑
의 찬 물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온도차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남해안에는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이 왜적을 맞아 센 물살을 이용하여 통쾌한 승리를 거둔 곳으로 유명한 울돌목이 조류가 빠른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출산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방광경부와 요도를 지탱해주는 조직이 약해지고 요도가
밑
으로 처지게 되면 복압이 상승할 때 방광내의 압력은 같이 올라가지만 요도의 압력은 그대로다. 결과적으로 방광내의 압력이 요도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기침과 동시에 소변이 나오게 된다.급박성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그 두께가 대략 1천㎞ 정도일 것으로 생각된다. 대기 밀도는
밑
으로 내려가면서 높아져서 결국은 액체 상태로 된 내부에 이르게 될 것이다.목성의 대기 현상중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것이 대적점(大赤点, great red spot)이다. 대적점은 타원의 모습을 한 적색의 태풍과 같은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조개속에 알을 낳는 셈이다.이들 어류가 어떤 특성이 있기에 다른 어류처럼 수초나 돌
밑
, 자갈 사이에 산란하지 않고 반드시 이매패의 몸 속에만 산란을 할까.이들 어류의 암놈은 산란기가 되면 산란을 하기 위한 관을 항문 근처에 길게 뻗어내는데 이것을 산란관(産卵管, ovipositor)이라고 한다. 다른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다. 우리가 몸으로 느끼지 못할 정도의 지진을 관측하는 미소지진관측망은 바로 발
밑
의 땅속에서 일어난 일만을 알 수 있는 현미경 타입과, 세계 표준지진관측망(WSSN)과 같이 지구내부 깊숙이 투과하여 볼 수 있는 망원경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후자와 같은 접근 방법을 광역(global)지진학이라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