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순서를 생각해 보면 ABC, ACB, BAC, BCA, CAB, CBA 이렇게 6가지(3!=3×2×1)예요. 물론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에서 어떤 면을 바닥에 닿게 쌓는지는 무시한 경우의 수입니다. 그런데 상자의 개수를 10개로만 늘려도 경우의 수가 362만 8800가지(10!)로 걷잡을 수 없이 커져요. 보통 이사를 할 때 쓰는 박스는 적게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몸 쓰는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도형을 상대보다 많이 올려서 더 많은 영역을 확보하면 이기는 게임이다. 이때 다양한 모양의 다각형이 만들어지는데, 학생들은 서로 다른 도형을 몇 가지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하면서 자연스럽게 경우의 수 찾는 법을 배운다. 알록달록한 보석으로 쌓아 올린 돌기둥을 곡괭이로 쓰러뜨리는 게임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위 사진)의 경우 작은 면적에 회로의 폭이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로 좁게 복잡한 모양의 회로를 그려 넣어야 한다. 이때 원하는 요소를 포함한 회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그래프 이론을 쓴다. 이처럼 경로 찾기 문제는 단순히 점과 선 위에서 길을 찾는 문제에 불과하지만 활용도가 ... ...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른다고 생각하고, 두 인류의 두개골을 비교하기로 했어요. 현생 인류의 두개골이 둥근 모양인 데 비해,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은 앞뒤로 길게 생겨 모습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거든요. 연구팀은 현대인 4468명의 유전자와 뇌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를 분석했어요. 우선 사람들의 뇌가 얼마나 ... ...
- 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기동물을 줄일 것으로 예상돼요. 길이 약 10mm의 캡슐 모양인 칩에는 전선이 원기둥 모양으로 감긴 코일이 들어 있어요. 코일은 혼자서 전기를 만들지는 못하지만, 외부의 스캐너에게서 전자파를 받으면 이에 반응해 새로운 전자파를 내보내지요. 이 전자파를 읽으면 반려동물의 식별 번호를 알 수 ... ...
- [이달의 PICK] ‘계란의 일생’ 알아야 핵심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올라탄다. 45도 온수로 몸에 묻은 분변을 씻어내고 건조기에서 몸을 말린다. 지그재그 모양의 벨트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계란들은 한 방향으로 줄을 선다. 할로겐 조명을 비춰 비정상적인 계란은 자동으로 낙오시킨다. 살아남은 계란들은 잉크젯 마킹기를 통과하며 번호를 받는다. 생산자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우유를 떠올릴 때 연상되는 대표적인 이미지다. 빙그레에 따르면 장독대와 달항아리 모양을 통해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려고 했다고. 또 바나나의 노란색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반투명으로 제작했다. 마실 때 용기가 약간 기울더라도 내용물이 흐르지 않게 입구 부분에 턱을 만드는 등 기능도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가지고 있다. 특히 자연계에서 프랙털 구조가 자주 발견된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 모양과 창문에 성에가 자라는 모습 등이 모두 주변에서 관찰 가능한 프랙털이다. 프랙털의 원리를 잘 이용하면 부피가 큰 사물을 최소한으로 줄여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수도 있다. 프랙털이 우리 생활에 어떤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있으면 세상에 못 풀 문제가 없는 줄 알았던 견우가 충격에 빠진 모양이에요. 어떤 문제는 유한한 시간 안에 답을 구하는 방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거든요. 이럴 때 우리 알고리듬 요정은 손 놓고 가만히 있어야 할까요? 아니, 실망하긴 일러요! 밸런타인데이 기념으로 제가 여러분에게 줄 초콜릿을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정식으로 배우지 않았던 시절에 같은 가래떡의 표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는 모양이 타원이란 걸 알아낸 조상님들이 대단하죠? 그럼 타원이 어디에서 처음 등장했는지, 타원이란 정확히 어떤 도형인지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합시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폴로니우스의 저서 ‘원뿔 곡선론’을 보면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