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용"(으)로 총 5,83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충분히 조사한 뒤 “나는 개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내부 사람이니, 어서 내용을 공개하라”는 질문을 하는 식이죠.0.2초 동안 잠깐 드러나는 미세 표정미세한 표정의 변화를 관찰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드라마 ‘라이 투 미’의 천재 심리학자 칼 라이트만은 약 0.2초 동안 잠깐 ... ...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느덧 2016년의 마지막 수학동아입니다. 한 해 동안 재미있고 유용한 콘텐츠를 전해 드리려고 노력했는데, 돌아보면 여전히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여러분은 어떤가요? ... 연재기사는 올해로 막을 내립니다. 내년에는 새로운 연재기사와 함께 더욱 재미있는 내용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것인지를 제시해야 한다. 보상책이나 재발방지를 위한 구체적 조치를 언급할 수도 있다.내용 외에도 좋은 사과에서 지켜야 할 원칙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문법이다. 사과의 문법이 잘못되면 ‘사과 아닌 사과(비(非)사과 사과)’가 탄생한다. 갈등 해결이라는 장점은 취하면서 책임인정에 따른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캐릭터에서 합성하는 기술 등 재밌는 기술이 지난 10월에만 21개나 공개됐습니다. 더 많은 내용은 홈페이지나 지난해 12월 과학동아 기사(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디즈니 리서치가 공개한 장난감 기술5)를 참조하면 좋겠네요.아기자기한 캐릭터 가득한 연구실디즈니 리서치는 카네기멜론대 ...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한 장면처럼 기밀 내용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전자장치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잔해조차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뒤, 그 안에 들어 있는 세포 구성성분과 소기관이 분해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내용물을 분해하기 위해 이들 구성성분이 자가소포체 형태로 라이소좀까지 배달되는 모습도 발견했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이 현상이 어떻게, 왜 일어나는지 전혀 알 수 없었다. 오토파지를 직접 눈으로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모양을 세로로 바꿉니다.➌ ‘상하 대칭’ 글상자를 클릭하면 화면에 그려진 모든 내용을 지우고, 대칭축 모양을 가로로 바꿉니다.➍ 연필 오브젝트의 복제본을 만듭니다.➎ 복제본의 위치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연필 오브젝트에 대칭인 곳으로 정합니다. 좌우 대칭일 때 x값은 대칭축의 x값에서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따라서 위 문제는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점, 선, 면의 내용을 확장해 실생활에서도 수학의 원리가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게 만든 수업이다. 다양한 형태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문제 해결 능력까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탔는데, 입자를 직접 발견한 CERN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인정했다. CERN의 모든 구성원은 두 학자가 노벨상을 받게 됐을 때 마치 우리가 상을 받은 것처럼 기뻐하며 흥분했다. 우리가 노벨상을 탈것이라는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마치 친구가 보낸 메일처럼 제목을 ‘야, 오늘 뭐해?’라고 짓는 식으로요. 메일의 내용으로 스팸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면, 스팸이 동시다발적으로 뿌려진다는 점을 이용할 수는 없을까요?신승원 교수는 “누군가 동시에 대규모로 보낸 것인지 아닌지를 알려면 세계 각국의 네트워크 길목을 모두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