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이 연구를 통해 화산 폭발 위험 지도를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비정질 고체 x’ 2018년 12월 13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당신이 같은 선택을 반복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선택을 반복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의 한 연구팀이 그 이유를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7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스리데비 사르마 바이오의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사람이 의사결정하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간단한 카드 게임을 실험에 참가한 ... ...
[QUIZ KING & POSTECH] 신입 회원 모집 대작전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쓸 수 있고, 미국, 유럽 대학도 비슷한 학기 제도를 운영하기 때문에 교환학생 같은
국제
교류활동에서 시기를 맞추기 편하거든요. 다만 국내 대학들과는 학기 운영 시기가 어긋나서 학점교류 등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해요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교수팀은 우주가 지속된 137억 년 동안 쏟아진 별빛의 총량을 계산하는 데 성공해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2018년 11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그간 우주에 방출된 광자의 개수를 모두 더하는 방식으로 별빛의 총량을 계산했다. 그중에서도 파장이 매우 짧고 고에너지를 지닌 감마선을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설명했다. 이 기술은 2018년 11월 4~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모바일 및 센싱 분야의
국제
학회인 ‘미국컴퓨터협회 센시스’에서 발표돼 ‘베스트 페이퍼 러너업 어워드’를 수상했다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발자국 화석이 공룡의 것임을 확인하고 함께 연구를 시작했다. 이렇게 나온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8년 11월 15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38/s41598-018-35289-4 공룡의 실제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골격 화석이다. 하지만 놀랍게도 발자국 하나만으로도 공룡에 대해 많은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 한 교수는 홍 교수와 함께 2010년 축구하는 로봇 ‘찰리(CHARLI)’를 만들었다. 그리고
국제
로봇월드컵인 ‘로보컵’에 출전해 키즈 사이즈(60cm)와 어덜트 사이즈(130cm) 두 종목에서 모두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찰리는 현재 미국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에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로 전시돼 있다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끄는 연구팀은 패드를 이용해 2차원에서 촉감을 느끼는 방법을 고안해
국제
학술지 ‘산업 정보학 저널’ 2018년 6월 26일자에 발표했다. doi:10.1109/TII.2018.2850849 연구팀이 개발한 촉감 패드는 공명을 이용한 모터인 선형 공진 구동기(linear resonant actuator)를 이용해 진동을 전달한다. 이 모터는 두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분석한 결과와 서양인의 유전체 표준(GRCh37)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는 2018년 4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공개됐습니다. doi:10.1038/s41598-018-23837-x 현재는 한국인 1만 명 이상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울산 만 명 게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인의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2월 10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동물행동학과 우터 하프베르크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도시에 사는 개구리와 숲에 사는 개구리의 노랫소리를 비교했어. 연구팀의 조사 결과, 숲에 사는 개구리는 1분당 24~26번 ‘크릭’ 소리를 냈고, 도시에 사는 개구리는 1분당 28~30회 ‘크릭’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