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정해지면 그 학명의 발음기호도 같이 첨부하는 것이 원칙이다. 물론 공룡의 발음기호도
공식
적으로 정해져 있다. 그래서 필자 역시 학문의 중심인 미국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고자 했으나, 그 일이 쉽지 않음을 깨달았다. 모든 학문이 따르고 있는 관행을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의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기간 중 강우량은 줄어들면서 장마가 끝난 후에 더 많은 비가 내리는 일이 많아져 이러한
공식
에 적잖은 혼란을 야기한 것이다.북태평양 고기압 힘 못써장마전선은 6월 말부터 3주 이상을 우리나라 상공에 정체하며 지루한 비를 뿌린다. 그 후 7월 말부터 세력을 확장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오오츠크해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에피소드Ⅰ1.0은 에피소드 Ⅰ의 주요 장면들을 화려한 슬라이드 쇼로 보여주는 비
공식
(영화사에서 배포하는 것이 아닌) 스크린세이버다.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푼 후 setup.exe를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설치되는데 별도의 프로그램 그룹이나 아이콘을 만들지 않는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 ...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RGB를 알아내야 하는데, 이는 모니터마다 다르다.또 이렇게 구한 RGB가 단순한 수학적
공식
에 의해 CMYK로 바뀌어 프린터로 보내지면 색영역의 차이 때문에 나타내지 못하는 색들이 생기게 되므로 프린터에 따라 다른 값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잡지의 경우 은색이나 금색 표지를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전기기계방식의 대형컴퓨터인 마크 1호를 선보인 바 있다. 그런데 하버드대학에서
공식
발표를 하는 자리에서 에이킨은 큰 실수를 범하고 말았다. 제작비의 3분의 2를 대고 상당수의 부품을 제공했던 IBM의 사장 토머스 왓슨을 발표회장 뒷줄에 앉힌 것이다. “만약 총만 들었다면 아버지는 에이킨을 ...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있는 기회이니, 엄청나게 희박한 기회임을 알 수 있다.그렇다면 억겁은 어떠한가. 겁은
공식
적인 단위수는 아니지만, 불교적인 의미를 갖는 시간 단위다. 불교에서 정의하는 겁은 거의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긴 시간이다. 달구지로 한나절 걸리는 거리(약 14km)를 한 변으로 하는 정육면체의 바위를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역시 김기덕 감독의 전철을 그대로 밟지 않았나 싶다. 한국영화계는 ‘SF는 곧 SFX’라는
공식
에 사로잡혀 있는게 아닐까. 과학적인 설정과 탄탄한 얘기 구조로 무한한 상상력의 세계를 현실화하고, 과학기술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면 굳이 특수효과를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않아 달은 ‘죽은 별’로 판명났다.아폴로 11호의 달착륙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공식
적인 표명과는 달리 달에 사람을 보내겠다는 의지를 포기하지 않았다. 미국이 아폴로계획을 취소한 이후에도 러시아는 달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N1 로켓과 새로운 유인우주선 개발을 위한 연구를 계속했다.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나타난다. 이것의 모양이 그리스 문자 제타(ξ)와 비슷해 제타 암흑성운으로 불린다.
공식
명칭은 B143. B는 암흑성운을 처음 발견한 버나드(Banard)의 머리 글자에서 따왔다. 표준렌즈로 쉽게 찍히며 청명한 날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천체'는 2백여년이 지난 후인 1969년 물리학자 존 휠러(John Wheeler)에 의해 '블랙홀'이라는
공식
명칭을 얻게 됐다. 이름만큼이나 신비에 쌓여 있던 블랙홀은 천문학자들의 끊임없는 탐구와 관측기술의 발달로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블랙홀은 더 이상 우주공간의 마법사가 아니다. 어쩌면 그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