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03
해안가의 파도보다 훨씬 큰 규모로 서서히 움직인다. 깊은 바다 속에서 물의 밀도 차이는
공기
와 수면의 밀도 차이에 비해 아주 작기 때문이다. 내부파의 높이는 보통 수~수십m. 지금까지 알려진 내부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은 남중국해에서 중국 쪽으로 진행하는 내부파로, 높이만 해도 100m가 ... ...
도둑, 고주파에 딱 걸렸어!
과학동아
l
200603
물체의 방향과 속도까지 파악할 수 있다.기존의 보안기기는 사람이 호흡할 때 따뜻한
공기
를 내쉬는 것에 착안해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로 도둑을 탐지했다. 그러나 따뜻한 바람이 갑작스레 불어와도 벨이 울리곤 했다. 개나 고양이 같이 숨을 쉬는 동물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홍 교수팀이 ... ...
에너지 네 능력을 보여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쉽지 않아요. 대신 요즘은 태양열을 이용한 주택이나 수소자동차가 등장하여 깨끗한
공기
만들기에 기여하고 있지요. 이렇게 에너지는 시대가 바뀌면서 우리 생활과 함께 변해왔어요. 그런데 석유나 천연가스는 앞으로 100년 안에 모두 바닥날 전망이어서 미래에는 깨끗하고 양도 무궁무진한 새로운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바람을 받아도 연이 잘 상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구멍을 통과한 바람이 뒷면의 부족한
공기
를 즉시 채우기 때문에 연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느슨하게 맨 연줄과 얼레는 방패연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답니다. 팽이치기얼어붙은 논바닥에서 기우뚱 쓰러질 듯 하다가도 ... ...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02
가열되면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해 대류운동이 커지면서 발생한다. 기온이 올라가다보니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비를 뿌리는 뭉게구름도 커진다. 보통 뭉게구름을 반지름이 10km 정도인 원통으로 볼 때 2000만톤 정도의 비를 뿌릴 수 있다. 이 때 뭉게구름이 여러 지역을 지나가면서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02
기압·기온·습도·풍향 등의 기상요소가 기입되어 있다등온위면 일기도에서는
공기
의 대규모적인 움직임과 수증기의 상태가 밝혀진다단시투영법(單視投影法)의 하나 축측(軸測)투영법에서 투영면이 3개의 주축과 같은 각으로 만나는 경우를 말하고, 주축의 투영도 OX, OY, OZ는 서로 120°씩 각을 ... ...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과학동아
l
200602
수분을 붙잡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당알코올 사탕은 보통 개별 포장해
공기
를 차단한다”고 설명한다.)“당알코올 가문의 자일리톨이라 하옵니다. 감히 전하와 감미도가 비슷하다고 아뢰옵니다. 소인은 충치균을 죽이는 탁월한 능력이 있사옵니다. 또한 혈당이 높아지는 정도를 ... ...
겨울스포츠
과학동아
l
200602
130km다. 스키점프스키점프는 새가 나는 원리인 양력을 이용한 경기다. 양력은 물체가
공기
나 물 같은 유체를 지날 때 위아래 속도가 달라서 생기는 일종의 부력이다. 양력이 생기려면 속도가 매우 빨라야 한다. 스키점프선수가 점프하기 직전 속도는 시속 90km에 육박한다. 선수가 날아가는 평균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02
반도체 기술과 만나면서 참신함을 더한다.ICU디지털미디어랩이 만든 ‘나노로봇’은
공기
처럼 우리 주변에 퍼져있을 미래의 로봇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사람의 움직임과 소리에 반응하는 작은 로봇들을 천정에 가득 매달아 놓은 이 작품은 인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기를 꿈꾸는 미래 로봇을 ... ...
뉴스 특보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낮고 한국의 기압은 높아져 따뜻한 겨울이 된답니다. 또한 이렇게 북극에 서 온 차가운
공기
가 서해와 만나 눈구름이 만들어져서 서해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합니다. 이렇게 날씨는 전 지구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답니다. 우리나라의 추위와 폭설은 북극으로부터 온 것이군요! 자세한 설명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