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
장롱
마켓
창자
장농
농
페이지
뉴스
"
장
"(으)로 총 3,942건 검색되었습니다.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좋아 순간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장
점이다. 하지만 간섭 패턴을 읽기 위해 9~15
장
의 영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 촬영에 적합하지 않고, 공간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영상 수를 늘리면 그만큼 시간분해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박 교수팀은 촬영하는 영역의 특성에 맞춰 ... ...
발열-기침-근육통-메스꺼움-구토-설사...코로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 순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의 경우 메스꺼움과 구토 같은 위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장
에서 나타나는 설사 증상 이전에 발현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메르스·사스와는 반대되는 순서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호흡기 질환에 걸렸을 때 증상이 다르게 진행한다는 사실을 규명하면 같은 증상을 ... ...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줄리오 다르시 미국 워싱턴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벽돌 전지다. 벽돌 하나를 LED 전구에 연결하면 10분간 빛을 낸다. 워싱턴대 제 ... 저
장
하는 월면토를 이용해 벽돌을 만들면 14일간 127도까지 오르는 달의 낮 동안 열을 저
장
하고 이를 발전기와 연결해 전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 ...
의협·26개 전문학회 "4대악 의료정책 철폐하라"...박능후 "대화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8.13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며 “의사협회는 정부의 진정성을 믿고 오늘이라도 대화의
장
으로 나와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밝혔다. ... ...
의학한림원 "정부가 의료계와 대화하도록 국민들이 요청해달라"
연합뉴스
l
2020.08.13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의료계 석학단체인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13일 "국민 여러분께서 정부가 의료계와 진정한 대화의
장
에 참 ... 해결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마지막까지도 대화의 문은 열려 있고 의협이 협의의
장
으로 들어오겠다고 한다면 환영하겠다"고 밝혔다. ... ...
[담화문 전문] 박능후 "요구 관철 위한 진료중단, 국민 지지 얻기 힘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8.13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의사협회는 정부의 진정성을 믿고 오늘이라도 대화의
장
으로 나와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다시 한번 요청합니다. 감사합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
장
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14일 전국의사총파업 예정대로 강행한다...현
장
필수 인원 빼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의료계에 지속적으로 협의체 구성을 간곡하게 제안하였으나 의협이 이를 끝내 거부하는
장
면을 연출함으로써 대화를 거부한 의료계에 책임을 돌리려는 얄팍한 속임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예정대로 14일 오후3시 서울 여의대로에서 '4대악 의료정책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총파업 ... ...
[인간·공감·AI] ⑤ AI로 코로나19 백신 다양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성공한 것은 상용화하려고 있으며 기업체 참여를 유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박 센터
장
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머물고 있다”며 “더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많이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상태였다. 그 결과 ACE1 유전자가 제대로 발현이 안 돼 키가 안 컸다는 말이다. 올해 긴
장
마로 많은 논이 침수됐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심수 벼는 물론이고 침수 내성 벼도 필요한 시점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가속화된다면 한 세대 뒤 우리나라의 재배 품종에도 침수 내성 벼의 Sub1A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