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8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장기 재생의 꿈 앞당기는 미니장기 '오가노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0
현상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가노이드 전문가인 구본경 오스트리아
분자
생명공학연구소(IMBA) 연구책임자는 "많은 수의 화합물을 한꺼번에 스크리닝(선별)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장기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합물을 발견한 중요한 연구"라며 "앞으로 비슷한 ... ...
코로나19 항체 혈액에서 4개월 이상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말했다. 제니퍼 거머만 캐나다 토론토대 면역학부 교수와 앤 클로드 징그러스
분자
유전학부 교수 공동연구팀도 코로나19 환자 402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IgG 항체가 최소 115일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같은 날 사이언스 면역학에 발표했다. 환자들은 증상이 나타난 후 15~30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있었는지를 설명해주는 가교가 된다. 유전자은행은 바로 이런 해커 문화도 흡수했고,
분자
생물학자들과 컴퓨터 과학자들은 생물정보학이라는 가교를 통해 함께 오픈액세스 운동을 실천할 수 있었다. 즉, 유전자 은행의 설립은 실험생물학의 도덕경제를 반영할 뿐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해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처음 등장한 유전자가위 기술이다. DNA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과 아연 이온으로 구성된
분자
기계로 10개 내외의 염기서열을 인식해 자를 수 있다. 뛰어나고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널리 활용되지 못한 비운의 기술이었다. 김석중 본부장은 “초기에 징크핑거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도구로써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Pixabay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7일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52)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 항체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기대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들은 생명의 코드를 쉽게 바꾸는
분자
도구를 발견했다.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버클리 캘리포니아대로 옮겼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만 골라 잘라내는
분자
기계다.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1년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개발했다. 유전자 가위란 마치 책 속 문장을 지웠다가 새로 쓰는 것처럼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골라 잘라내는 신개념 기술이다. 이후 ... ...
노벨 화학상 수상한 50대 여성 화학자들, 그들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거친 후 2015년부터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로 일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6년 한국
분자
세포생물학회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방한한 후 가진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대학원 시절을 포함해 25년간 5개국, 9개 연구소를 떠돌며 비정규직 연구원으로 일했다”며 “크리스퍼를 발견하기 2년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본지와 단독 인터뷰를 하며 이같이 말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지난달 12∼14일 열린 한국
분자
세포생물학회(회장 최준호) 정기학술대회에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크리스퍼는 최근 생명과학계에서 가장 ‘핫’한 기술로 꼽힌다. 질병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잘라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꿈을 실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DNA만 골라 잘라내는
분자
기계다.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1년 처음 유전자 가위 개념을 개발했다. 유전자 가위란 마치 책 속 문장을 지웠다가 새로 쓰는 것처럼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골라 잘라내는 신개념 기술이다. 이후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진행했다. 두 사람은 박테리아의 유전자 가위를 재구성하는데 성공했으며 유전자 가위의
분자
성분을 단순화하는데 성공했다. 또 유전자 가위로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낼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잘라낸 부분에 유전자 코드를 다시 쓸 수 있다는 사실도 증명했다. 두 사람의 공로로 개발된 크리스퍼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