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분"(으)로 총 2,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텔 CPU 보안 무엇이 문제?...패치하면 성능 저하도2018.01.04
- 예민한 부분이 담긴다. 이 때문에 커널 메모리는 완벽하게 격리된다. 메모리를 가상으로 구분하는 것이지만 일종의 장벽이 쳐져 있어서 응용프로그램이 돌아가다가 말썽이 일어나거나, 보안 문제가 생겨도 커널 메모리를 건드릴 수는 없다. 다만 커널보다 더 밑바닥에 있는 프로세서는 커널 ...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2018.01.04
- 베링기아 통한 이주설과 일치한다. 원주민의 조상이 아시아 다른 인류와 유전적으로 구분돼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라. 그게 꼭 베링기아일 필요는 없다. 나는 그게 북동아시아일 가능성을 타진했다. 미국 진입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의 데이터는 2만~1만5000년 전 사이에 들어갔다고 밝히고 있다. ... ...
- 5가지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7년 스마트폰2017.12.31
- 볼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들이 이 디스플레이에 맞춰지면서 디자인은 더 구분하기 어려워진 것은 아이러니한 일이다. ● 홍채, 얼굴 등 생체 인식 수단의 확대 생체 인식은 오랫동안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보안 도구로 꼽혀 왔다. 복제가 쉽지 않고, 개인 식별에 유리한 데다가 분실의 ... ...
- [테마가 있는 영화] 2017년을 떠나보내며 ‘보이후드’2017.12.30
- 게임도 날이 갈수록 발전해 어느 순간에는 닌텐도 Wii가 등장하기도 한다. 시대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각 장면들에는 그 시대의 음악들이 흘러 나온다. 아이들은 매년 몰라보게 자랐다. 영화 안의 메이슨과 사만다는 물론이고, 영화 바깥의 엘라 콜트레인과 로렐라이 링클레이터도 그랬다. 둘은 ... ...
- “아마존 서식 ‘황금왕관 마나킨’은 교잡으로 탄생한 새 종”동아사이언스 l2017.12.29
- 서식지가 합쳐지면서 두 종 간 교잡이 일어났다. 지금은 강을 경계로 두 종의 서식지가 구분돼 있지만 18만∼30만 년 전 빙하기 때는 물길이 지금과 달라 두 종의 서식지가 합쳐졌고 이때 황금왕관 마나킨이 등장했다. 최근에는 북극 지역이 새로운 교잡종 탄생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 ...
- LTE기술 민간서 이용 가능… 국내 전파사용 규칙 다시 짠다동아사이언스 l2017.12.28
- 유독물질 관리, 크레인 충돌방지 등의 목적으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는 산업용 주파수로 구분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산업·생활 주파수는 현재 이용 중인 총 주파수(44.2GHz)의 약 74%(32.8GHz)에 해당할 정도로 산업체 및 국민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면서 “시대 변화에 따라 각 분야에 대한 ... ...
- 양자통신 핵심 부품, 국내서 세계 최초로 소형화동아사이언스 l2017.12.28
- 광자)로 이뤄져 있다. 빛의 세기를 낮추면 빛 알갱이의 밀도가 줄어들어 알갱이를 하나씩 구분해 정보를 쓰거나 읽을 수 있다. 연구팀은 빛 알갱이가 1초에 1억 개 꼴로 나오도록 밀도를 조절한 뒤, 알갱이 하나하나에 ‘편광’이라고 하는 빛의 양자역학 특성을 더해 암호화했다. 편광은 빛 ... ...
- “인간과 어깨 맞대고 일한다”… 산업현장서 ‘협동로봇’ 주목동아사이언스 l2017.12.27
- 줄 안다. 여기에 사람이 주변에 있는지 시각으로 확인하고, 힘을 써야 하는 작업을 구분해 낸다. 경 연구원은 “두 팔을 정밀하게 움직이면서도 주위에 방해받지 않는 양팔로봇의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정밀산업 현장에 투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협동로봇 ... ...
-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7.12.27
- 구분할 정도로 민감하게 작동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라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분해 출력했다. 심 교수는 “재료 자체의 거친 표면을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 게임만 VR·AR의 미래? 건설현장 MR 경험에 다리가 후덜덜 2017.12.25
- 바라보는 시장이 단순히 가상현실이냐, 증강현실이냐 따위의 이분법적인 구분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게 바로 윈도우 MR의 대시보드고, 그 안의 콘텐츠를 상황에 따라, 또 내용에 따라 홀로렌즈로 봐야 할 수도 있고, VR 헤드셋으로 봐야 할 수도 있다. ‘윈도우 MR’은 하나의 플랫폼 개념으로 보는 게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