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떠있게 만드는 것이 그리 쉬워 보이지는 않았다. 상자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팽이가 자꾸
한쪽
으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팽이가 날아간 방향을 보고 어느 부분의 수 평이 맞지 않는가 생각하면서 작은 나무조각들로 수평을 맞춰야 한다. 또 팽이의 무게도 조 절해야 한다. 이것을 시종 미소와 ... ...
자석놀이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때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힘은 없어지고 관성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한쪽
은 반만 벗겨 놓는 것이다. 그 단계를 넘기고 나면 전류가 다시 흐른다. 이것이 전동기의 기본 원리다.전동기에는 직류전동기와 교류 전동기가 있다. 직류전동기에는 정류자라는 것이 있어서 반바퀴 회전할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을 잘 때는 오른쪽 뇌가 깨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럼으로써 적어도 대뇌반구
한쪽
은 항상 경계상태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어느 동물이 잠을 많이 잘까? - 최고 잠꾸러기는 사자일반적으로 몸집이 작은 동물이 큰 동물보다 많이 잔다고 할 수 있지만, 수면의 양은 신체의 크기에만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때는 다리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본인은 자주 깨는 이유를 모른다. 옆에서 관찰하면
한쪽
다리가 수십초에 한번씩 가볍게 경련을 일으킨다.이에 비해 특정 수면 단계에서 일어나는 행동도 있다. 렘수면기에 일어나는 행동장애는 나쁜 꿈을 꿀 때 일어나는 험악한 행동이 대표적인 사례다. 자다가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창조적 재능의 산물이므로 아론은 코헨의 꼭두각시일 따름이라고 주장하는 반면에, 다른
한쪽
에서는 코헨이 아론이 그리게 될 그림의 내용을 예측하지 못하므로 그림의 주인은 아론이라고 주장한다. 전자가 컴퓨터 프로그램의 창조성을 부인하는 입장이라면 후자는 그 반대이다.또한 컴퓨터 ... ...
3. 반도체 개발중에 발견된 입자 애니온이 여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먼저 전류를 반도체 소자에 흐르게 한다. 그러면 로렌츠힘 때문에 전자들이 시료의
한쪽
가장자리로 이동해 이 전류의 수직 방향으로 전압차가 유도된다(홀 효과). 홀 저항은 유도된 이 전압차를 전류로 나눈 양이다. 보통의 저차원 반도체들은 매우 깨끗하나, 불순물이 어느 정도는 필연적으로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커지지만 같은 구경이라 할지라도 망원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분해능이 좋더라도
한쪽
별이 너무 밝은 경우는 어두운 별의 별빛이 밝은 별의 별빛에 파묻혀버리기 때문에 관측이 힘들다.밝기 차이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발견된 경우가 ‘시리우스B’별이다. 오리온자리 아래에 있는 큰개자리의 ... ...
1. 에너지문제 해결하는 무한동력, 영구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다른쪽보다 망치 하나가 더 많다. 따라서 얼핏 보면 바퀴는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은 탓에
한쪽
으로 힘이 몰려 계속 멈추지 않고 돌 것 같다.그러나 바퀴는 몇바퀴 못돌고 멈춘다. 우선 망치가 움직일 때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망치의 젖혀지는 힘이 온전히 바퀴에 전달되지 못한다. 아래로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다른 주장을 펼 수 있는 곳이 숲이다. 그만큼 숲은 그저 단순한 생태계가 아니다. 만일
한쪽
의 결과나 또는 주장만을 옳다고 생각하고, 다른 쪽의 주장은 틀리다고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그야말로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이다. 하물며 국토 면적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나라 전체의 숲을 논할 때에는 ... ...
유전자 추적해 '부모중 누구 닮았나'규명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생각할 때 부모 모두로부터 온전한 기능을 전수받는 것이 유리한 것이 아닐까. 어느
한쪽
의 유전자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게 생존에 어떤 면에서 도움을 줬을까. 정교수는 좀더 많은 연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명쾌한 대답을 미뤄두고 있다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