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메탄도 포함돼 있었다. 생명체가 존재하기 좋은 조건이었다.엔셀라두스의 중력 측정결과 대략 30~40km 두께의 얼음 밑에 대략 10km 깊이의 액체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만일 이 액체가 엔셀라두스 남극에서 방출된 물질과 같은 성분이라면, 지표면에 물로 구성된 바다가 있다는 뜻이다. 언젠가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정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봇연구실용화그 룹 연구원은 “뇌파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할 때 외부의 잡음(노이즈)이 섞여 들어가는 점이 가장 어렵다”고 말 했다. 일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복잡하고 소란스러운 신 호들이 로봇슈트를 제어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말이 다. 정 연구원은 “현재 뇌파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느끼는 것 같아요.”그 외에도 쥐를 매달리게 해서 팔 힘을 측정하는 기계, 시력 측정 기계, 걸음걸이를 재는 기계 등 쥐 전용 실험 장비를 구석구석 둘러볼 수 있었다. 100페이지가 넘는 쥐들의 건강기록부독일마우스병원은 이렇게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매년 100마리 이상의 쥐를 대상으로 신체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했다. “하지만 타이탄은 그런 노력이 아깝지 않은 정말 특이하고 흥미로운 위성이에요. 측정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졌지만, 여전히 모르는 것 투성이기도 하고요.”최근에는 지도교수(김상준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와 함께 칼 세이건이 ‘솔린(tholin)’이라고 이름 붙인, 미지의 타이탄 먼지 ...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했다. 그 뒤 2012년과 2013년 여름 동안 대장균의 변화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보더콜리가 있었던 구역은 눈에 띄게 대장균 수치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앨름 교수는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보더콜리가 돌아다니면서 갈매기를 쫓아내기 때문”이라며 “여름철에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고 해보자. 행성 하나가 별빛을 가릴 때에 비해 별이 어둡게 측정 될 것이다. 이 역시 측정하기 쉽지 않겠지만, 위성을 찾 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면 위성의 크기와 함께 질량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키핑 박사가 현재 가장 열심히 ...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안았다.한국과학영재학교 3학년 이형근 군, 윤상진 군은 파킨슨병을 조기진단할 수 있는 측정장비를 만들어 엔지니어링부문 부문별 4등상을 차지했다. 파킨슨병에 걸리면 손목 부분의 근력부터 위축되기 시작한다는 데서 착안한 장비다. 이 군은 “센서를 좀 더 정밀하게 만들고, 다양한 데이터를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0으로 접근하는 것만으로 고전역학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결어긋남과 같은 양자측정이 있어야 고전역학으로 환원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응원리가 맞는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뭐가 뭔지 모르겠다고?결론을 이야기하자면 양자카오스에 대해 모두가 동의하는 답은 아직 없다 ... ...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기증받았어요. 그리고 동물의 눈에 자외선을 쏘아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도달하는지 측정하는 실험을 했지요. 그 결과 개와 고양이, 흰담비, 고슴도치 같은 동물은 자외선이 수정체를 지나 망막에 도달하는 것을 알아냈어요. 이 동물들은 자외선을 볼 수 있다는 뜻이지요.하지만 연구팀은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가닥이 실타래 풀리듯이 구멍을 지나가요. 구멍이 충분히 작으면 전기전도성의 차이를 측정해서 어떤 분자가 지나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DNA 염기서열을 구할 수 있어요. 한 사람의 염기서열을 100만 원으로 하루에 분석하는 게 세계적인 목표랍니다.▶ 인재상과 진로밥 먹다가 ‘왜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