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한살이를 다루면서 식물을 떼놓고 이야기할 수는 없는 법이니까.파브르와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돋보기와 몽당연필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는 점일 테다. 정 박사는 키 160cm가 안 되는 작은 체구지만 커다란 DSLR을 항상 메고 다닌다. 60mm 렌즈에 외장형 플래시를 두 대나 달아놓았다. 곤충기에 쓸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료는 같고 해석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정말로 원본이 같다면 왜 이런 차이가 생긴 것인가.개인적으로 우리가 좀 더 꼼꼼하고, 더 깊이 자료를 분석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우리는 신대륙인이 하나의 조상에서 기원된 것이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반대쪽에서는 우리보다 그 문제를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 인디언포커는 자신의 카드를 못보고 상대의 카드만 볼 수 있는 것이 핵심인데 이것은 차이가 없나.정 : 결국 내가 아는 정보의 양은 동일하다. 상대편의 머리 위에 있는 카드가 내 카드라고 생각하고 플레이해도 결과가 똑같을 것 같다.엄 : 영희의 내쉬균형을 구하는 방법도 AKQ와 똑같다. 앞서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양휘산법, 산학계몽, 이렇게 세 가지다. 세 가지 책은 다루고 있는 내용과 난이도 면에서 차이가 있다. 가장 대중적으로 배우던, 다시 말해 가장 쉬운 책은 상명산법이다. 상명산법은 중국 명나라 수학자 안지제가 1373년 제작한 산학서로, 곱셈이나 나눗셈 등 가장 기본적인 수학 개념이 서술돼 있다.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따라다녔다. 그를 옹호하는 이들은 다른 로키스 선수들과 비교하며 ‘그들에 비하면 차이가 크지 않다’고 말하지만, 그가 타자가 유리한 구장에서 뛰며 이득을 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왜 이런 일이 일어난걸까. 정답은 ‘높은 고도’다. 쿠어스 필드가 있는 덴버는 해발고도가 1600m다. 설악산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정도다.그런데 파는 김치는 어떨까. 김치연구소 장지윤 연구원은 “영양학적으로 그렇게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파는 김치의 장점도 있다. 김치의 단점으로 꼽히는 염분, 즉 소금을 적게 쓰는 것이다. 박 본부장은 “남부지방에서 직접 담근 김치는 염분 농도가 3.0%를 넘는 경우가 많은데 파는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달린 얼굴도 소를 닮았다. 심지어 ‘끽끽~’ 하는 울음소리를 들어도 소와 비슷하다. 차이점은 소에는 없는 날개가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름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소(하늘소)’다.파브르는 나무에 사는 하늘소에 관심을 가졌다. 대부분의 사람들도 하늘소 하면 나무에 사는 덩치 큰 곤충을 먼저 ...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 엄폐물을 찾아 앞으로 돌진하는 훈련이다. 둘 다 중요한 훈련이지만, 실제 전투와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달려가는 동시에 움직이는 물체를 향해 실탄을 쏴야 하는데, 훈련소 여건으론 불가능하다. 실전과 같은 긴장감이 없기에 훈련효과도 떨어진다.만약 실제 총알이 빗발치는 가운데 ...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실을 알게 됐지요. ‘뺍뺍’ 노래하는 청개구리와 ‘챙챙’ 노래하는 수원청개구리의 차이점도요.이명렬 박사님은 강의를 통해서 꿀벌과 밀원식물에 대해 알려 주셨어요. 이 박사님은 “꿀벌의 밥인 밀원식물을 탐사하는 것은 꽃가루를 옮겨 생태계를 지키는 꿀벌을 보호하는 길”이라고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주택의 평면을 돌로 만들었다고 믿을 수 없을 만큼 자유로운 형태로 만들었다. 가장 큰 차이는 주택의 가운데 놓인 파티오의 모양과 크기다. 밀라 주택 뒤쪽의 파티오는 원형이며 크기가 상당히 크다. 건물로 둘러싸인 파티오는 마치 오목한 거울이 빛을 모으는 것과 같이 빛을 모아 블록 전체에 빛을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