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떳다! 화석 삼총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어요. 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중생대 초기 곤충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곤충의
진화
과정 연구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삼총사의 과학이야기이재성 (대전과학고 2학년)이런 발견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남기수 선생님과 김종헌 교수님의 도움과 많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뜨거운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 다양성에 있기 때문이다. 이 다양성이 지구 전체의 생명현상을 뒷받침하고 있고,
진화
의 원동력이 된다. 다양성에 대한 분자차원의 메커니즘은 생명체 게놈의 변이로 설명할 수 있다. 인간 게놈 전체의 변이를 서로 비교하면, 정상인과 환자, 동양인과 서양인처럼 특성이 서로 다른 사람들의 ... ...
네안데르탈인 후예 지금도 살아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증거가 없다고 주장해 왔다.그린 박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정보는 사람이 어떻게
진화
했는지에 대한 단서가 담긴 금맥”이라며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손가락뼈를 이용해 추가로 유전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자연과학 교양도서를 탐독하며 과학의 열정을 키우고 있었다. 이를 반영하듯 영국
진화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의 책에서 읽은 RNA 생명기원설에 대해 질문했다. 요나트 박사는 “리보솜이 생명 기원을 밝히는 데 단서가 될 수 있다”며 “리보솜은 작은 박테리아에서부터 고등생물까지 존재하기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산 위에서 식물이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지요. 식물이 자연 환경에 따라 적응하고
진화
한다는 것을 잉카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었던 거예요.그밖에 ‘살리다네스’라는 곳에서는 계단 모양으로 염전을 만든 모습(위)을 볼 수 있었어요. 하얀 소금으로 덮인 염전이 골짜기를 가득 메운 모습에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새들의 경우 천적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는 비정형의 무리를 지어야 한다는 사실을 오랜
진화
과정에서 터득한 셈이다.대학 학부 때부터 10년 가까이 새를 봐 왔다는 빙 연구원도 여러 번 낙방한 끝에 센터에 합류했다고 한다. 빙 연구원은 선후배 연구원들 사이에서 가장 새를 잘 보는 베테랑으로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0대 과학발견’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 이듬해 장 교수팀은 그물망 구조를 카펫형으로
진화
시켰고, 마이크로파에만 적용하던 것을 파장이 가시광선의 1.8~2.4배에 불과한 근적외선 영역까지 끌어올렸다. 물론 투명망토 역시 나노물질로 만들어 너무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올 3월에는 이 기술로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원시적인 형태라고 한다. 이 밖에도 심해 조개와 심해 해삼처럼 다른 종보다 조금 느리게
진화
한 희귀한 심해 생물 표본들을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다.표본만으로 아쉬운 사람을 위해 전시장 오른쪽에는 심해의 열수분출구와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심해 생물을 모형으로 재현해 놨다. 머리 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탄생하기 전 RNA가 자신을 스스로 복제하고 RNA 사슬이 만들어지며 원시 리보솜으로
진화
했을지 모른다는 내용이다. 그 뒤 펩티드와 단백질이 생성되고 이들 중 좋은 것만 살아남아 생명체가 탄생했을 것이다. ‘호기심 천국’ 바이츠만연구소와 ‘호기심 소녀’ 요나트 박사 “지난 60여 년간 ... ...
인류
진화
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었던기간보다 더 오래 살았다는 증거이거나, 250만 년 전~200만 년 전에 아프리카누스가
진화
한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대 프레드 그린 박사도 “버거 박사팀이 아프리카누스끼리의 개체변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두 화석 중 하나가 미성숙한 나이이기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