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매우 충격적이었다. 연구를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폴 에르되시와 알프레드 레니의
주장
대로 네트워크는 무작위로 만들어진다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실험 결과 인터넷이나 SNS 네트워크는 무작위로 만든 모양이 아니었다.대부분의 네트워크는 멱함수라는 분포를 따르고 있었는다. 무작위로 ... ...
바이오안전성·산업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작성해 대상을 받았다. 심사위원 권치순 서울교대 교수는 “과학 논술에서는 문제인식과
주장
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 논리적 전개가 가장 중요하다”며 “대상을 받은 김윤정 학생은 나고야 의정서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과 근거를 짜임새 있게 논리적으로 제시했을 뿐 아니라 대안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마그마 분출과 이때 생긴 기후변화가 혜성 충돌보다 더 큰 원인일지 모른다는 것이 그의
주장
이다. 이 발표 뒤 많은 국내 과학자들은 만약 백두산이 분출할 경우 지구환경 변화가 어느 규모로 일어날지 흥미로운 토론을 벌였다.우주에 지구 문명을 전파하려면미국 하버드대 찰스 랭뮤어 교수의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주장
했다. 하지만 선천성 면역계가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정확히 밝혀내지 못해 그의
주장
은 매력적인 가설로만 머물러 있었다. 이때 TLR을 발견해 선천성 면역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람이 호프만 교수다. 그는 인간과 비슷한 선천성 면역계를 가진 초파리에 주목했다(초파리는 후천성 면역계가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몇 차례 있었다. 황박사는 ‘속을 뛰어넘어(이속간)’ 복제에 성공한 첫 사례라고
주장
하고 있다.기존에도 과, 목, 강(각각 3,4,5번째로 작은 분류개념)을 뛰어넘어 체세포 복제를 통해 배반포를 만든 연구가 성공한 적이 있다. 예를 들면 조류(강)인 닭의 체세포를 포유류(강)인 소의 난자에 넣은 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존 휠러 프린스턴대 교수는 반입자를 이용하면 과거로 여행하는 전자를 볼 수 있다고
주장
했다. 훨러는 우주의 모든 전자가 시간의 앞뒤로 여러 번 오갈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리처드파인만은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올라가는 입자를 관측할 때, 이 입자는 반입자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그렇다면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주장
하기도 했죠. 같은 해 베렌트 스퇼 네덜란드 라이덴대 교수는 밀도가 중요하다는
주장
을 ‘미국공공과학도서관회지(플로스 원)’에 냈습니다. 2010년에는 CT(컴퓨터 단층촬영)를 찍어 구조를 연구한 결과가 ‘사이언스’에 실리기도 했습니다. 음색의 미스터리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얘기다. 수학부문에서는 한국인도 수상자에 포함돼 있다. 1992년에 휴거가 일어난다고
주장
하며 신도 2만 여 명을 모았던 이장림 목사다. 이그노벨상 선정단은 ‘수학적 가정을 세우고 답을 얻을 때에는 충분히 검토해야 함을 널리 알린 공로’로 세상의 종말을 예언했던 6명에게 수상했다. 이들이 ... ...
특허를 갖는 자가 시장을 지배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먼저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나중에 사용료를 지불할 수 있다.애플은 프란드 조약을
주장
해 삼성의 강력한 무기 하나를 무력화했다. 삼성으로서는 전략을 바꿔야 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네덜란드 법원은 두 기업에게 성실하게 사용료 협상에 임하라고 권고했다.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에는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성장할 때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해 수자원 부족 상황에 더 큰 압력을 줄 수 있다는
주장
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사막화를남의 이야기로만 치우쳐버린다면 사막화는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상태로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무엇이든 균형을 잃으면 언제나 정점을 찍은 뒤에야 안정화된다는 사실을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