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겹쳐 아주 얇은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성공한다면 새로운
전기
적, 기계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 만들어 진다.이외에도 UNIST에는 내로라하는 과학자들이 모여있다.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을 이끄는 스티브 그래닉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공학과 석좌교수 출신으로 지난해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설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프리징’을 이용해 설계 도면을 만들고 아두이노를 통해
전기
가 1초 또는 0.5초 단위로 흐르도록 ‘아두이노 스케치’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했다. 아두이노를 노트북에서 분리하고 앞에 만들었던 빵판 스피커에 연결했다. 그러자 1초 단위로 전구의 불이 깜박이고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예술가…. 그는 스스로를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할까?“저는 예술가예요. 저는 대학에서
전기
전자전파공학부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가서 또 공학을 공부했어요. 만약 제가 과학자가 되어 세계 최초로 개인 인공위성을 개발했다면, 사람들은 제 인공위성이 잘 작동하는지 못하는지 엄격한 시선과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활용하고 있다. 일반인 출입금지 구역에 누군가 함부로 들어오려 할 경우 순간적으로
전기
에 감전되도록 해 놓은 것이다.그런데 이 장치를 이용하면 인공강우도 만들 수 있다. 구름에 레이저 빔을 쏘면 응결핵★이 만들어지면서 비가 내리게 되는 원리다.그렇다면 말레피센트처럼 녹색 눈동자와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쥐와 원숭이 실험에서는 보통 뇌에 전극을 심는다. 전극이 달린 헬멧을 통 해 두피에서
전기
신호를 받아들인다.하지만 이 기술이 실제로 쓰이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정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봇연구실용화그 룹 연구원은 “뇌파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할 때 외부의 잡음(노이즈)이 섞여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그래핀도 그럴 수 있다. 그래핀은 탄소가 육각형 그물처럼 편평하게 연결된 것으로
전기
가 잘 통하고 강도가 세다. 이 때문에 꿈의 나노물질로 불린다.미국 UC리버사이드 환경공학과의 샤론 워커 교수는 산화그래핀이 생태계에 미칠 잠재적 위험에 대해 미국 ‘환경공학과학’ 저널 3월호에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쥐의 심장박동이 실시간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쥐가 앉아있는 회색 판이 바로 심장의
전기
적 활동을 감지하는 심전도(EGC) 전극이었다. 병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심전도 기계의 축소판인 셈이다. 마치 소인국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사뭇 귀여웠다.운이 좋게도 일종의 엑스레이(DEXA)를 촬영하는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개발하셨다는데, 어떤 원리인가요?A 연료전지는 수소나 알코올을 산화시켜 거기에서
전기
를 뽑아내는 장치입니다. 핵심기술은 촉매입니다. 수소를 산화시키고 공기를 환원시켜야 하는데, 이것을 도와주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그게 촉매예요. 그런데 촉매 개발이 연료전지 분야의 난제입니다.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변하기 때문이다(불연속은 양자역학의 트레이드마크다!). 또 강한 자기장에 놓인 전자의
전기
전도도는 외부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역시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강한 자기장과 전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를 양자홀 효과라고 한다. 1985년 폰 클리칭, 1998년 로버트 러플린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그 결과를 최근 ‘네이처’에 공개했다.빛이 눈에 들어가면 광수용체 세포가 빛 정보를
전기
파동으로 바꿔 망막으로 전달한다. 광수용체 세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줄기처럼 뻗어 있는 양극성 신경세포(뉴런)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 신호는 다시 수상돌기가 나 있는 아마크린 세포를 거쳐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