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견
취재
면접
면담
회담
인터뷰우
면회
d라이브러리
"
인터뷰
"(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이발사의 역설’에서 이발사는 머리를 자를 수도 없고 자르지 않을 수도 없다.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인간을 상식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려가게 만드는 역설의 정체가 ... 정체를 밝혀라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인터뷰
. 역설은 희망을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인공지능은 지적인 면에서 무서운 인간의 경쟁 상대로 떠올랐다. 그렇다면 고도로 발달한 인공지능은 역설도 해결할 수 있을까?힐베르트 호텔이나 몬티 홀 문제, 세일즈맨 ... 정체를 밝혀라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인터뷰
. 역설은 희망을 ... ...
[특별
인터뷰
]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보기만 해도 오싹한 쌍살벌을 1년간 꾸준히 관찰한 친구가 있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현준서 대원이에요. 준서는 여느 곤충학자 못지않게 진지한 자세로 ‘쌍살벌의 한해살이’를 탐구했답니다. 보다 재밌고 생생한 준서의 쌍살벌 관찰기를 소개합니다.오싹하고 신기한 쌍살벌 ...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분화하는 모습은 관찰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로스 교수 역시 영국 BBC와의
인터뷰
에서 “사람의 뇌로 자라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생각하지만, 반드시 조사해 봐야 할 부분”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키메라 연구의 성공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기관들의 입장도 달라지고 있다. 2015년 9월, 인간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도움이 되는 기관이라는 점을 의미한다(doi:10.1016/j.crpv.2016.06.001). 스미스 박사는 e메일
인터뷰
에서 “충수가 있는 동물은 내장 내 림프조직의 밀도가 높다”며 “다른 포유류의 충수 역시 인간과 마찬가지로 면역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렇다면 왜 어떤 종은 충수가 있고, 어떤 종은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끈기 있게 탐구해 얻어낸 가치 있는 연구 성과”라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자랑했다.
인터뷰
도 연구원들을 자랑하고 싶어서 수락했을 정도라고.내부광전자방출 측정시스템 제작을 주도한 윤훈한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왼쪽에서 다섯 번째)의 이야기도 직접 들어봤다. 윤 연구원은 “1학년 1학기 때 ... ...
[Issue] 빈 속에 술 마신 당신 음주거식증 경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빅토리아 오스본 교수는 미국 과학 전문온라인매체 ‘사이언스데일리’와의
인터뷰
에서 “결국은 뇌에 영양분이 제대로 가지 않기 때문에 이는 짧게든 길게든 집중력이 저하되거나 판단력이 저하되는 등의 인지 장애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실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예방연구센터 킴벌리 ... ...
[과학뉴스] ‘청정구역’ 마리아나 해구까지 오염됐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오염시켰을 거라고 추정했다.제이미슨 교수는 2월 13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
에서 “검출됐다는 사실보다 농도가 높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며 “독성화학물질에 오염된 물질이 해구에 떨어지면 더 갈 곳이 없다 보니 수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참새 떼의 도움을 받아 끝냈을 때였다.분석을 마친 레건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
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체계가 많이 달라 미국 문화권의 이야기들보다는 정확성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언어와 문화에 따라 감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것이 문학에서는 어떻게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번 연구를 주도한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의 필립 헥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
에서 “린나강 퇴적층은 퇴적 속도가 느린 먼 바다에서 생성돼 입자가 강하게 응축돼 있다”며 “우주에서 온 미소운석이 희석되지 않고 남아있기 좋은 조건”이라고 말했다. 육상퇴적물이 적어 운석 입자를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