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반응을 나타냈다.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약 300년 전에 연구한 그래프
이론
이 왕따를 찾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다.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사회관계망 분석점과 선으로 연결된 아래 그래프는 인천지역의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이루고 있는 친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
힉스메커니즘 제안자 구랄닉 교수 별세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구랄닉 박사는 미국에서 태어나 MIT와 하버드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했으며, 양자장
이론
의 대가였다. 컴퓨터를 활용한 해법을 크게 발전시켰고, 강한 상호작용에 관한 양자색역학(QCD) 발전에도 공헌했다. 말년에는 신경망 컴퓨터 연구에도 관여했다.논문의 공동 저자 톰 키블 박사에 따르면, 당시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육각형이 원통형 구조를 이룬다. 그래핀은 육각구조가 평면적으로 모인 얇은 구조다.
이론
적으로 탄소는 육각을 넘어 칠각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은 루오프 교수의 연구를 바탕으로 육각 구조와 칠각 구조가 결합된 음곡률 탄소 물질을 만들고 있다. 연구진은 새로운 구조가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근거로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문에 대한 몇 가지 ‘옳은’ 사실이나 다중지능
이론
에 대한 설명을 늘어놓은 건 눈속임입니다. 마치 자기들 주장이 근거가 있는 것인 양 포장해 놓은 거지요. 이런 것에 속으면 안 됩니다.게다가 지문이 형성되는 과정은 아직 확실히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체가 부도체로 바뀐다. 이를 앤더슨 국소화(局所化)라고 하는데, 이
이론
으로 필립 앤더슨은 197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중시계는 최첨단 전자산업에서도 중요하다. 고체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새로이 나타나는 효과를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의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같이 보였다. 연구팀은 외부 환경에 따라 9가지 ‘처방전’을 내렸다(오른쪽 그림 참조).
이론
적으로는 더 많은 경우의 수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호에 실렸다.이스라엘 바이안대 나노재료공학연구소의 이도 바체레트 박사는 “생물학적인 치료과정이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중세 과학을 지나 현대물리까지 온다. 그러면서 살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물리학
이론
을 빈 공간이라는 개념에서 접근한다.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가 튀어나오는가 하면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이 주인공이 된 힉스가 등장하기도 한다. 저자가 일상에서 느끼던 빈 공간에 대한 소소한 ... ...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알고 있었다. 하지만 씨앗이 형성되는 속도를 설명하기엔 황산 농도가 너무 낮아 미완의
이론
이라는 평가가 많았다.연구팀은 오염물이 없는 실험관 안에 대기 조건을 재현했다. 그 뒤 여기에 이산화황과 알파피넨(소나무에서 나오는 유기물)의 산화물인 ‘피난디올’로 실험관 안을 채워 대기에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무렵의 기억은 7~8세를 지나면서 갑자기 상당부분 사라진다. 하지만 로빈 피부쉬의 통합
이론
에 따르면, 자서전적 기억은 5세 무렵에 완성된다. 왜 2년이나 지나서 기억이 갑자기 사라지는 걸까. 바우어 등은 지수함수적 망각곡선(지수함수는 급격히 줄어드는 곡선 그래프 형태를 띤다)을 이용한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물체를 사라지게 해야 한다. 이런 광대역 투명망토는 이전에도 있었다. 펜드리 교수가
이론
적으로 제안한 투명망토를 공명주파수가 존재하는 안테나 대신, 공명 현상이 없는 유전체를 이용하면 구현 가능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었다. 이를 미국의 스미스 교수팀이 2009년에 실제로 구현했고 최근 김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