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부딪혀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학뿐 아니라 심리학과 분자
생물학
, 신경
생물학
등 여러 분야가 포함된 학제적 접근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부의 지원 하에 진행되고 있는 ‘뇌과학연구사업’에서 학제적 연구를 통해 인간의 시각과 청각, 인지추론 및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또한 여러 생명현상 중 신비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마음에 대한 과학적 도전의식은 신경
생물학
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극미한 틈새로 흐르는 정보인간의 두뇌는 수많은 신경세포와 다양한 세포로 이뤄져 있다. 특히 신경세포(뉴런)는 서로 특수한 연결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다. 이런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매우 큰 경제성을 갖는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빈약한 국가에서 효율적인
생물학
적 수소생산기술을 개발하면 에너지 생산국으로 도약할 가능성도 크다. 하지만 이런 긍정적인 면과 아울러 생물기술이 갖는 고유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불과합니다. 인간은 유전자의 생존 기계라니까요!사회자: 그러고 보니 20세기초의 전설적
생물학
자 홀데인이 언젠가 선술집에서 “나는 2명의 형제나 8명의 사촌의 생명을 위해 목숨을 던질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 유명한 일화가 생각나는군요. 하지만 흥미롭게도 이기적 유전자 이론의 기세에 ... ...
2 사랑에 빠진 뇌, 우정을 느낀 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까닭도 없이 슬퍼질까?’이 질문에 대한 똑부러지는 대답은 아직까지 없다. 인간 감정의
생물학
적 메커니즘은 거의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무언가를 느끼는 행위는 학습이나 기억, 추리 등의 행위에 비해 너무나 주관적이고 상대적이어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기 힘들다고 생각됐기 ... ...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세가지 방법 모두 동일한 것이다.하지만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원리는 조금씩 다르다.
생물학
적 방법이 조류의 광합성 과정을, 열화학적 방법이 높은 온도에서 물을 분해하는 다단계 화학반응을 이용한다면, 광화학적 방법은 태양광을 직접 이용한다.좀더 정확히 말해 물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위해 우리의 사회는 현대의 자본주의보다 발달한 시스템을 찾아야 할 것이다.다음으로
생물학
적인 관점에서 생각해보자. 앞서 말했듯 자신과 같은 개체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계는 생명체로 볼 수 있다. 번식을 할 수 있는 기계가 인간의 통제에서 벗어난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이것은 인간만이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내 여러 현상 및 생체 구성성분의 구조 · 성질 등을 물리화학적 수단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
은 복잡한 생명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종전까지는 기술적(記述的) 과학으로서의 성격이 짙었다 생물계를 식물계 · 동물계 · 균계의 세 생물군으로 분류하는 생물관 생물에는 식물과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해마의 신경세포 발달을 억제해 우울증을 일으킨다고 추측했다.컬럼비아대 신경
생물학
과 르네 헨 교수팀은 항우울제가 해마에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자라게 한다는 사실을발견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 8일자에 발표했다. 신경세포의 성장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보여준 최초의 결과다.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염기서열을 바꾸지 않더라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전혀 새로운
생물학
의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한다.아마도 먼 미래에는 아이의 유전적 성향을‘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임신 중에 꼭 먹어야할 식단표가 만들어질지도 모른다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