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테니스 포 투’에서 영감을 얻은 1세대 비디오 게임 ‘퐁’이 출시됐습니다. 탁구를
본
떠 만든 이 게임은 그야말로 대성공을 거뒀지요. 손님들이 동전을 너무 많이 넣어 게임기가 고장이 날 정도였다는군요. 오늘은 앱메이커로 ‘퐁’을 만들 거예요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두께가 2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인 태양전지를 만들었답니다. 실제로 실험해
본
결과, 이 태양전지는 유리로 만든 기존의 태양전지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였어요.불로비치 교수는 “이 태양전지는 옷이나 생활용품에 붙일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기자단 소식] 일
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영하는 모습을 올려다볼 수 있을 정도로 수조의 물이 정말 투명했습니다. 제가 가
본
우리나라의 동물원들에서는 하마 우리가 너무나 더러워서 하마를 찾는 것조차 어려웠는데 말이죠.우리나라 동물원은 염소나 양에게 먹이를 주는 체험이 거의 전부입니다. 그런데 아사히야마 동물원은 새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당장 나가!”시원이는 당황스럽고 부끄러워서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어요. 이런 표정을
본
선생님은 웬 하얀 덩어리를 휙 던지더니 말했어요.“나가기 싫다면 네가 이 자리에 있어도 된다는 걸 증명해 보던가!”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용해와 용액하얀 덩어리의 정체는 바로 소금이었어요. 소금을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런 것도 빅데이터 분석으로~? 1. 다른 성별로 게임해
본
사람 손~?!KAIST 문화기술대학원 차미영, 박주용 교수팀은 자신의 성별과 아바타의 성별을 다르게 만들어 게임하는 사람들을 분석했다. 게임 속 세상을 가상 실험실로 보고 게임 내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들의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결국 돌멩이는 튕겨나가지 못하고 물속으로 잠겨버렸지요. 연구팀은 여러 각도로 던져
본
결과, 돌멩이가 두껍고 동그란 경우는 수면에 들어가는 각도가 작아질수록 다시 튕겨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동그란 돌로 물수제비를 성공시키려면, 돌이 특정한 각도 이내로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간질이는 실험도 했는데 이때 실험 참가자는 간지럼을 타지 않았습니다. 눈으로
본
로봇의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움찔했을지 몰라도 사람과 같이 계속해서 세기나 위치가 바뀌지는 않거든요. 그런데 로봇도 만약 예상범위를 벗어나도록 속도나 범위를 계속 변화시키면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줄을 때려 소리가 나는 원리가 신기했다” 며 “에디슨을 이용해 실제 문제를 풀어
본
경험이 앞으로 진로를 선택할 때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고등학교에서 대학원 수준의 연구까지 가능디지털 카메라 사용에 익숙해지면 자동 대신 수동 모드로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에디슨도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인공 귀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위 사진). 또한 쥐의 인공조직을 만들어 쥐에게 이식해
본
결과, 별다른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답니다.강현욱 교수는 “이 기술은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복원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단맛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있고 인체에 해를 주지 않아 인공 생체 재료로 많이 사용되지요. 실제로 연구팀이 실험해
본
결과, 솜사탕 기계로 만든 인공 모세혈관은 실제 모세혈관처럼 주변의 세포에 화학물질을 성공적으로 전달했어요.사탕이 녹는 과정을 연구한 과학자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는 안드레아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