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d라이브러리
"
마디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한 지역을 기준으로 10km나 1백km 범위의 기상은 수시로 변화하므로 그 수명도 짧습니다. 한
마디
로 변덕장이지요. 따라서 지역을 좀더 세분해서 일기예보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겁니다. 우리도 현재 고속도로라든가 해수욕장 같은 곳에 국지예보를 내보내고 있읍니다." 컴퓨터와 레이다는 ... ...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알렌잔더'가 처음 국민학교에 등교하던 날 장난치다가 엄격한 선생에게서 자로 손가락
마디
를 맞고 엉엉 울면서 집에 돌아 왔다. 5년 뒤 처음 학교에 등교하던 날 로잘린도 자로 얻어 맞았으나 그녀를 자를 뺏아 선생을 되받아 쳤다. 교장 선생님에게 불려간 로잘린은 "왜 그런 짓을 했느냐?"고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자연히 조절된다. 우리 사람에겐 그런 능력이 있는데, 알칼리성 음료의 효과란 것은 한
마디
로 우스운 얘기다." 사람의 몸은 항상 산도(pH) 7.35에서 7.45사이를 유지한다. 체약의 조절작용, 폐의 탄산가스 배출, 신장의 배설작용등 3가지 인체의 작용이 항상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연조절한다는 ... ...
교사들의 경험이야기 누가 훌륭한 과학자가 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학생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거든요. 자질과 흥미 갖추면 된다 박-성적과 관련해서 한
마디
만 더 추가한다면 얼마든지 극복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과학이나 수학과목의 경우 초급학년에서 기초가 안돼 있으면 상급학년에 가서 따라가기가 힘든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도 스스로 흥미를 ... ...
SW.2 아직은 형편없지만 2001년에는 세계5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등 모든 면에서 뒤져 있다. 그리고 외국의 S/W산업에 비해서도 아주 낙후되어 있다. 한
마디
로 말하면 우리의 S/W산업은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체질적으로 허약한 상태에 있다. 상대적으로 선진 외국의 S/W산업은 구조적으로 고도화되어 있고 체질적으로 강하여 무서운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 ...
물리학을 위해 태어난 사람 카를로 루비아 CARLO RUBBIA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것은 “교류의 중성전류인가 보다”고 빈정대기도 했다. 소립자물리학의 역사는 한
마디
로 혼돈속에서 질서를 발견하려는 엄청난 고난의 역사였다. 이런 노력중의 하나가 수많은 소립자를 정리해서 2~3개의 기본적인 구성입자로 환원시키려는 것이었다. 이와 밀접한 관걔를 가진 다른 하나의 노력은 ... ...
수석 합격자의 말 공식의 암기보다 과정의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대학에 와보니 한
마디
로 자유롭다는 느낌입니다. 교수님의 강의는 고등학교 때보다 '불친절'하더군요. 학생들이 알아서 공부하라는 거지요." 대학의 첫 인상을 이렇게 말하는 김동균(金東均·18 서울대 물리학과 1학년)군은 87학년도 대입 학력고사의 자연계 수석합격자. 고등학교 때는 어떻게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처럼 해양·수산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련된 학과가 23개에 이르고 있는 것은 한
마디
로 해양개발이 종합응용과학이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 바다밑 3천m까지 내려가는 심해저에는 망간 코발트 구리 등 40여종으로 구성된 망간덩어리가 자갈처럼 깔려 있는데, 이같은 노다지를 자원으로 ... ...
과학영재 6백명의 교육현장 전국의 과학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것 역시 자존심이 강해 작은 일에도 상처받기 쉬운 학생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한
마디
로 과학고교생들은 학습과 생활에 있어서 '자율'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지내고 있는 셈이다. 이같은 과학고 특유의 환경하에서 학생들간의 분위기랄까, 인간관계는 어떤 것일까.기자가 찾아간 경남과학고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발견하여 1962년 노벨 의학생리학상을 수상한 '프란시스 크릭'(Francis Crick)의 주장을 한
마디
로 요약하면 "뇌가 많은 것을 기억할수록 신경회로가 혼란되어 잘못된 정보가 섞이므로 꿈을 꾸어 쓸모없는 정보를 버리고 뇌를 조율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아무리 공부해도 꿈을 꾸지 않으면 뇌는 혼란해질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