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뉴스"(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계 최초로 살아 있는 세포로 3D프린팅을 하는 데 성공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포유류의 세포로 3D프린팅을 시도했지만 쉽게 손상되는 탓에 번번이 실패했다. 이번에는 인체에 무해한 박테리아를 원료로 삼았다. 쉰허 자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인체에 무해한 박테리아를 원료로 3D프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상에 없던 새로운 단백질이 만들어졌다. 플로이드 로메스버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박사팀은 인공 염기 X, Y를 주입한 대장균이 새로운 아미노산을 만들었다고 ‘네이처’ 2017년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로메스버그 박사팀은 2014년 DNA를 구성하는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 등 염기 4 ... ...
- [과학뉴스]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역사상 가장 완벽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으로 알려진 ‘리틀 풋(Little Foot)’을 드디어 연구할 수 있게 됐다. 199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북쪽에 있는 스터크폰테인 동굴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발 뼈 4개가 가장 먼저 발견돼 이런 애칭이 붙었다. 리틀 풋은 약 367만 년 전에 살았던 것 ...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종이를 이용해 약 0.2초 만에 반응하는 고감도 압력 센서를 개발했다. 손으로 만질 때 생기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의 감도를 높이려면 물질 표면에 인공적인 미세구조를 만들어야 하는데, 공정이 복잡한데다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심우영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 ... ...
- [과학뉴스] 터널 화재 초기 진압 신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터널이나 철도, 지하 등 반밀폐 공간에서 불이 나면 훨씬 위험하다. 고온의 열기와 유독가스,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분진 등이 공간 내에서 피해를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2017년 12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연구팀은 압축공기포와 거품의 원리를 이용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클릭수가 평균 6.4배 늘어났다. 사용자들이 네이버에서 검색한 단어나, 블로그와 카페, 뉴스에서 읽은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AI가 스스로 학습해 개인별로 취향을 분류한 덕분이다. 네이버에서 사용자 상품 추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이정태 리더는 “에이아이템즈를 통해 지금까지 인지도가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 영역을 밝히는 데 광유전학이 사용됐습니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2016년 ‘스탠퍼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정신병을 이해하고 치료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며 “광유전학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유력한 도구”라고 말했습니다. 광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지금도 많은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770년 9월 조선의 밤하늘이 타는 듯한 붉은 오로라로 물들었다. 조선과 청나라, 일본 등 세 나라에 걸쳐 관측된 이 현상의 비밀을 일본 과학자들이 약 250년 만에 풀었다. 하야카와 히사시 일본 오사카대 교수팀은 붉은 오로라가 역사상 가장 거대한 규모의 태양자기폭풍의 결과로 생겼다는 연구 결 ... ...
- [과학뉴스]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긴 목과 납작한 주둥이, 수영에 유리한 넓적한 앞발을 가진 백조를 닮은 신종 공룡의 흔적이 발견됐다. 백악기 후기인 약 7500만~약 7100만 년 전 몽골에서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공룡에는 ‘할츠카랍토르 에스퀼리에이(Halszkaraptor escuilliei)’라는 학명이 붙었다. 이탈리아 지오반니카펠리니 박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궁이의 시뻘건 장작불 속에 고구마를 던져 놓고 군고구마를 기다리는 소리, 하얀 눈이 소리 없이 우리 집 마당을 찾아올 때 추억이 만들어지는 소리…. 아름다운 시를 읽으면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진다. 최근 이런 과정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미국 뉴욕대와 독일 막스플랑크 실증미학연구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