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어떤 경이로운 모습을 보여줄까. ESA, NASA,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맥아더재단, 호주국립대, SDSS-III Colaboration, 동아사이언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지배하는 검은 손 암흑에너지Intro. 우주론의 역사Part 1.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Part 2.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 ...
-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없다.첫 번째 관측 최적 시기였던 지난 16~17일에는, 서울 용산구 소재 과학동아천문대와 국립과천과학관 등에서 관측 행사가 열렸지만 궂은 날씨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다음 기회는 12월에 다시 온다. 밝은 달이 없고 맑은 하늘이라면 아이손 혜성의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내년 1월에는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공연장을 찾게 되지요. 하지만 모든 공연장이 늘 최고의 소리를 들려주는 것은 아닙니다. 국립극장이나 세종문화회관, 각 시도의 대표 공연장은 대부분 1970~1980년대에 만들어진 ‘다목적 홀’입니다. 일본에서 넘어온 건축 형태로, 말 그대로 다양한 목적으로 쓰기 위해 만든 공간이지요. 당연히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지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제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창의과학축전’,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의 ‘매스사이언스데이’ 등 수학 체험 현장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간다.혹시 경기도고양교육지원청에서 주최하는 ‘고양꿈돌이’ 축제를 들어보셨나요? 올해로 제18회를 맞은 전통 깊은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명을 돌파했다. 2011년에는 70억 명을 넘어섰고, 현재 80억 명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프랑스국립인구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에는 81억 명, 2050년에는 96억 명에 이른다고 한다.그렇다면 조브리스트의 주장처럼 머지않아 인류가 멸망하는 건 아닐까?다행히 맬서스의 주장은 틀렸다. 그가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금은 원자 10만 개가 넘는 리보솜을 연구하고 있다.필자가 속한 한양대는 미국국립보건연구소와 하버드대, 미시간대와 함께 참을 개발하고 유지한다는 협약을 맺었다. 필요한 경우 분자계를 적절히 분할한 다음 병렬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분산처리할 수 있는 코드가 이미 개발돼 있다.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뭔가 해봐야겠다는 생각만 막연하게 했을 뿐이다. 그러다가 나라에서 돈을 대주는 국립고등학교로 진학했다.고등학교 1학년 때 우연히 유도 선생님의 눈에 띄어 유도를 시작하게 된 소년 이영희는 공부보다는 유도가 더 재미있었다. “고등학교 입학해서 유도를 시작하게 됐는데 재미있는 거예요.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설립했고 이 단체가 1776년 ‘왕립내과의사회’와 통합해 1820년 프랑스 국립의학아카데미가 된다. 이로써 외과의사가 제대로 된 의사 취급을 받기 시작했다.외과와 내과가 한 학문의 두 갈래라는 생각은 18세기 병리해부학의 발전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의사들은 각종내과 질환의 증상을 사후 부검을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런 과학수사 드라마가 TV에서 인기를 끌 때 가장 흐뭇해하는 사람이 바로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원장이다. 현재 2013년 7월부터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부임한 정희선 전 원장을 만나 먼저 33년전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과학수사대의 길을 걷게 된 계기에 대해 물었다.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타고 움직이는 일이 많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탈것에 관심을 갖게 됐다. 게다가 국립중앙과학관이나 93 대전 엑스포처럼 꿈이 식지 않게 만들어준 환경도 있었다. 엑스포는 당시 93일 동안 열렸는데, 조 대표는 무려 24번이나 엑스포를 구경하러 찾아갔다.학창 시절 내내 조 대표는 변함없이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